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교형사법연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247002 

논문 :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Article : Die sexuelle Selbstbestimmung der Minderjahriger uber Dreizehn Jahren


 
제어번호 101247002
저자명 이수진 ( Su Jin Lee ) 
학술지명 비교형사법연구(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Criminal Law)
권호사항 Vol.17 No.3 [2015] 
발행처 한국비교형사법학회(Korean Association of Comparative Criminal Law) 
발행처URL http://www.kaccl.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7-145(2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우리 형법은 간음과 추행의 대상이 되는 자의 연령에 따라 처벌의 방식을 달리하고 있다. 때 모든 연령의 사람에 대하여 원칙적으로는 폭행·협박을 사용하거나 심신상실이나 항거불능 상태를 이용하여 간음·추행한 경우에 처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13세 미만의 경우는 폭행 또는 협박이라는 수단을 요하지 않고 간음과 추행한 행위 전부에 대해 처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범죄유형은 다른 유형과 달리 단순히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13세 미만자의 건전한 성적발육의 도모를 보호법익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13세 미만의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승낙이 있다 하더라도 범죄성립에는 영향이 없다. 이는 후에 임신의 문제 그로인한 2차 범죄인 낙태로 나아가는 경우 그리고 낙태로 인한 여성 개인의 건강상 심각한 해악을 불러와 그 영향력이 가족, 사회, 그리고 멀리는 다음 세대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성적 자유는 강력하게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13세 이상의 미성년자의 경우는 이러한 측면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범죄유형이 정립되어 있는 듯하고, 그로인해 판례 또한 혼란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성적 자기결정권의 정립과 그를 바탕으로 한 13세 이상 미성년자 승낙의 의미검토를 통해 정리하고자 한다.


주제어
자기결정권  , 성적 자기결정권  , 13세 이상 미성년자  , 13세 미만 미성년자  , 피해자승낙  , Selbstbestimmung  , Sexuelle Selbstbestimmung  , Minderjahriger uber dreizehn Jahren  , Minderjahriger unter dreizehn Jahren  , Einwilligung des Verletzte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50
9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4
7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8
6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7
5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8
3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2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8
1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