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52525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기타서명

    Study on undergraduates' recognitions of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 저자

    박진영                                       

  • 형태사항

    v, 6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선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서울·경기 지역과 지방 대도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낙태에 관한 인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하고, 이규숙(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자살에 대한 인식은 Domino 등 (1980)이 개발한 자기 보고형 설문지인 SOQ 중에서 반형진(1989)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송성호(2009)가 한국인의 문화에 맞게 재구성한 도구를, 안락사에 대한 인식은 류영신(2002)이 기존의 설문지와 여러 참고문헌을 토대로 만든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 및 변수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카이제곱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학생의 낙태반대지지는 총 가능 점수 1점~4점 중 남학생은 평균 2.77점, 여학생은 2.74점이었다. 낙태결정에 있어서는 원치 않은 임신의 경우 낙태를 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높아 선택 우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2. 자살에 대한 인식은 평균 -0.21점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일반인 대상의 선행연구에 비해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 자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일부항목에서 과거에 비해 자살에 대해 수용적인 견해를 보이는 이중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3. 안락사는 소극적 안락사와 적극적 안락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소극적 안락사는 대부분이 찬성하는 입장인 반면에 적극적 안락사는 반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안락사 요청여부에 있어서도 본인의 경우와 가족의 경우의 선택이 불일치하였다. 안락사의 법제화의 필요성에 대해는 82.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는 일관성 있는 관계가 없다.본 연구는 생명관련 쟁점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낙태, 자살, 안락사간의 인식을 살핀 결과 일관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각각의 쟁점에 관해 가치관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일관성 있는 선택을 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생명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습득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치를 확립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대학교 정규 수업으로 편성하여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23 12 낙태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남정아, 이상경 2017  116
    22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6
    21 12 낙태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수지 2018  114
    20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19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2017  110
    18 12 낙태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최규진 2018  110
    17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9
    16 12 낙태 낙태와 생명윤리 / 김성진 외 2018  107
    15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4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4
    13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1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11 12 낙태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윤지선 2017  98
    10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9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
    8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7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7
    6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