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325043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The Study on The Birth Control Policy and Abortion Law

                                  

  • 저자명

    이인영(Lee In-Young)                                                           

  • 학술지명

    페미니즘 연구               

  • 권호사항               

    Vol.10 No.1 [2010]                                                         

  • 발행처

    한국여성연구소                                

  • 발행처 URL

    http://www.kwsi.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87(5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초록 (Abstract)
    • 낙태죄의 보호법익의 한계는 어디에 있는가, 태아의 자기결정권 혹은 여성의 자기결정권 중 무엇을 우선할 것인가는 법질서의 결단에 속하는 문제이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 낙태죄의 보호법익의 한계는 어디에 있는가, 태아의 자기결정권 혹은 여성의 자기결정권 중 무엇을 우선할 것인가는 법질서의 결단에 속하는 문제이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어느 정도로 보호할 것인가는 입법자의 결정사항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낙태죄와 낙태를 허용하는 예외규정 어디에서도 태아의 생명이라는 법익과 임신한 여성의 선택결정권이라는 두 법익 중 어느 하나를 완전히 배제하여 입법할 수 없을 것이다. 태아의 생명권과 대립적이지만 공존적인 권리들 예를 들어 임부의 프라이버시권, 선택우선권, 평등권, 재생산권 등에 대한 의미부여와 존중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낙태를 허용하는 합법적 범주에 대한 입법형식으로 우리나라가 취하고 있는 입법방식은 적응방식이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법 제14조는 낙태의 적응사유로서 우생학적 적응사유, 윤리적 적응사유, 보건의학적 적응사유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정당화사유의 범위가 지나치게 좁게 규정되어 있거나 명확하지 않고, 특히 사회적 정당화사유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낙태의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입법논의 과정에서 낙태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부족하였다고 하겠다. 청소년이나 미혼여성의 낙태와 관련해서 아이의 출산 혹은 양육이 임신한 여성과 그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본다면, 국가가 모성보호를 위한 보육시설이나 환경을 구비하지 않은 현실에서 임신한 여성에게 전적으로 임신의 지속을 강요할 수는 없을 것이다. 임신의 지속이 임신한 여성에게 중대한 위기상황을 야기하는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 특히 의학적 정당화사유에서 해당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는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부분적으로라도 사회적 적응사유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법 안에 이러한 사회적 정당화사유 규정을 가지고 있지 않는 우리 현실에서 낙태행위자에 대한 엄격한 규제 일변도의 논리만으로 사문화되어 있는 낙태죄 규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낙태문제는 출산정책의 수단이거나 이와 연관될 수 없다. 출산정책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유동적일 수밖에 없는데, 만약 낙태를 줄이는 만큼 인구를 늘릴 수 있다는 식의 접근방식을 허용한다고 하면 상황이 변하면 인구를 줄이기 위해 낙태를 늘릴 수 있다는 식의 접근도 언제든지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태아의 생명권 보호라는 낙태규제법의 기본이념이 인구정책이라는 정책에 따라 그 시대와 상황의 변화 속에 유동적일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낙태규제법의 정당성 내지 신뢰성 자체를 위기에 빠뜨리게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낙태규제법의 규제이념과 그 한계
    • 3. 낙태규제법상의 불법 처벌과 합법 수용의 유형분석
    • 4. 낙태현실과 낙태규제법의 간격 극복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44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43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62
    42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41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1
    40 12 낙태 여성 인권으로서의 임신중단권 / 김채윤 2018  477
    39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3
    38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37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9
    36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2018  506
    35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3
    34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5
    33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6
    32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31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30
    30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29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40
    28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27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4
    2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3
    25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2009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