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公法硏究(Public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48551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A Constitutional Analysis on the Abortion Consultation Model

                               

  • 저자명

    정철(Jung Chul)                                           

  • 학술지명

    公法硏究(Public Law)                            

  • 권호사항

    Vol.40 No.1 [2011]                                                         

  • 발행처

    한국공법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97-325(29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초록 (Abstract)

  • 2010년 프로라이프(Pro-Life) 의사회가 법에 위반되는 낙태를 하는 산부인과 의사를 고발한 이후 잠시 주춤하던 낙태가 다시 시작되고 있지만 낙태기소나 처벌건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
  • 2010년 프로라이프(Pro-Life) 의사회가 법에 위반되는 낙태를 하는 산부인과 의사를 고발한 이후 잠시 주춤하던 낙태가 다시 시작되고 있지만 낙태기소나 처벌건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통계는 확인되지 않는다. 낙태를 헌법적 상황에서 볼 때 태아의 생명권, 산모의 프라이버시 및 자신의 삶에 대한 자기결정권, 가족과 혼인에 있어 부부의 구성원 결정권, 그리고 구체적 위험에 처한 산모의 사회적 기본권이 관련된다. 기존의 낙태에 대한 형벌을 통한 규제는 그 실효성을 상실하여 더 이상 태아의 생명보호와 산모의 보호에 적절한 수단이 되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입법자는 상담을 통한 임신지속 의지를 강화를 목표로 상담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담방식은 현재의 적응방식과는 일정한 딜레마 상태에 놓이게 된다. 적응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위험부담을 산모에게 이전시키면서 상담절차를 강요하는 것을 산모에게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담방식은 순수한 기한방식과 결합하여서만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문제는 기한방식을 통한 형벌의 포기가 입법자의 생명 보호의무의 관점에서 가능한가이다. 낙태에서 산모가 가지는 가해자와 피해자로서의 이중성과 태아의 독립성의 결여 등을 근거로 일정한 기한(12주) 내에 전문 상담사와의 상담절차를 거치고 의사에 의해 실행된 낙태는 낙태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결국 기한방식의 성패는 얼마나 충실하게 상담과정을 형성하느냐에 달려 있다. 상담은 기본적으로 생명에 대한 책임을 호소함으로써 임신 지속의지를 강화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지만 개방적인 결과 하에서 산모의 자율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담방식은 필수적으로 성교육의 강화를 동반해야 한다. 입법자는 이제까지의 생명의 절대성만을 강조하면서 거의 효과 없는 형벌만을 유지하는 방안 대신 낙태 상담방식을 통해 낙태에서 소외된 산모의 관점을 부각시키면서 의미 있는 상담을 통해 낙태를 방지하는 방안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낙태상담구상의 도입가능성
  • Ⅲ. 낙태상담구상과 다른 구상과의 조화여부
  • Ⅳ. 낙태상담구상의 구체적 형성
  • Ⅴ. 결론
  • 참고 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144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400
143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80
142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49
141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52
14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6
139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835
138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7
137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8
136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3
135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25
134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202
133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132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6
131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3
130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5
12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3
128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6
127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70
126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62
125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