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59742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1990~2010


= Trends and Socio-Economic Factors Impacting on Married Couples' Childlessness Among Korean Provinces : 1990~2010

 

http://www.riss.kr/link?id=A100259742 

 

저자명 : 김한곤(Han-Gon Kim)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권호사항 : Vol.14 No.12 [2014]

발행처 : 한국콘텐츠학회(The Korea Contents Society)

발행처 URL : http://www.koreacontents.or.kr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959-972(14)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4

주제어

일반기혼여성무자녀율 ,연령군별무자녀율 ,사회발전 ,여성의 지위 ,난임부부 ,General Marital Childlessness Rate ,Age-specific Fertility Rate,Social Development ,Women's Status ,Married Couples Suffering from in-fecundity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20년 동안 한국의 16개 광역자치단체의 무자녀율의 변화 추이와 그러한 무자녀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지역별로 무자녀율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무자녀율의 변화 추이를 알 수 있었다. 한편, 연령군별 무자녀율에는 사회발전, 교통수단, 여성의 지위 및 경제발전 등의 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기혼여성의 무자율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로 일반기혼여성 무자녀율을 적용하기 보다는 연령군별 무자녀율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무자녀율을 보다 잘 이해하는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 동안 한국은 난임 부부의 임신을 위한 지원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사회환경 및 여건의 변화로 인하여 지발적 무자녀 현상이 2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의 연령층에 걸쳐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난임 부부의 임신 지원정책을 보다 확대하여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자발적 무자녀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출산에 우호적인 인식과 태도를 갖도록 인식전환 정책을 비롯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 들어가는말

. 문헌연구

. 연구 방법

. 분석 결과

. 맺는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49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48 13 인구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안 / 김남욱 2017  151
47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9
46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45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1
44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43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42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4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40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39 13 인구 임신 ·출산 ·육아 지원정책에 대한 임산부의 요구분석 2017  228
38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36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35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34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8
33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32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1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