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6276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housing expenditure on childbirth : focusing on the households married since 2000

  • 저자[authors] 배호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i, 170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한창근<br>부록: 혼인년도를 고려한 주거비 부담이 첫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br>참고문헌: p. 139-15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주거비 부담,생존분석,신혼부부,출산,한국노동패널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숙제가 되어버린 저출산 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주거비 부담에 주목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주거문제(부동산문제)는 가장 논쟁적인 정책영역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신혼부부를 비롯한 청년층의 주거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정도가 적었으며, 이를 저출산 문제와 관련지어 주거문제나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주거비 부담이 출산과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출산 문제가 비교적 최근에 들어 본격화된 사회문제임을 염두에 두고 한국이 합계출산율 1.3 미만의 초저출산 국가로 접어든 2000년대 들어 새롭게 혼인한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비가 그들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남편과 아내 그리고 가구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그들의 첫출산 뿐만 아니라 추가출산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3차(2000년)~18차(2015년) 자료를 사용하여 기간에 대한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통계방법인 생존분석을 통해 신혼부부의 출산 속도(혼인 후 첫출산까지의 기간 및 첫출산 이후 추가출산까지의 기간)에 ‘주거비 지출액’이나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로 측정된 주거비 부담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혼인 당시를 기준으로 ‘주거비 지출액’이 많은 가구일수록 첫출산의 가능성이 낮았고, 주거비 지출액을 금액의 크기에 따른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폈을 때도 지출액이 큰 범주에 속해있는 가구일수록 자녀출산의 가능성이 더욱 낮았다.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도 RIR이 높은 가구일수록 첫출산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이를 OECD 등에서 주거비 부담 정도를 논할 때 기준으로 삼는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부담 범주에 속해있을수록 출산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 같은 양상은 추가출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첫출산 당시의 주거비 지출액 또는 주거비 부담과 추가출산 간의 관련성을 살핀 결과에서도 주거비 지출이나 주거비 부담은 추가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첫출산에 대한 분석에서 출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이 추가출산에서는 통계적인 유의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자녀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차별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논의와도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첫출산과 추가출산 장려를 위한 정책방향이 달리 설계되어야 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과도한 주거비 부담이 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음이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많은 신혼부부들이 출산의 걸림돌로 주거문제를 꼽고 있는 상황이 기우(杞憂)가 아님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중요한 축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주택정책의 당위성을 찾을 수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으며,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방안의 하나로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정책이 적절할 수 있다는 판단을 가능케 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혼인⋅자녀출산에 있어 가장 큰 부담의 하나로 작용하는 신혼부부의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0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9
89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3
88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64
87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86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60
85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76
84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83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82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4
8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8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3
79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8
78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77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70
76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75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1
74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7
73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72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