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92954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on the government policy trust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child birth intention

  • 저자[authors] 이보라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xiii, 155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 박종구<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18.2

  • DDC[DDC] 350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12)

  • UCI식별코드 I804:11012-000000010424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반영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첫째, 정부의 출산정책에 대한 신뢰, 둘째, 자녀를 낳고 기를 수 있는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 셋째, 경제적 부담감, 넷째, 자녀와 관련한 개인의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1).   또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떠한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2).   추가적으로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통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기혼 남녀 480명이었으며, 설문 조사는 온라인(Google 설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통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 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Model 1의 정부정책신뢰, 사회 환경인식, 경제적 부담, 개인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가치관이 긍정적이고,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출산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정책신뢰의 세부정책영역에서는 임신·출산정책, 노동정책의 신뢰가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환경인식의 세부영역에서는 지역환경, 직장환경이 정(+)의 방향으로, 양육환경은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적 부담의 세부영역에서는 양육비에 대한 부담이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나 교육비에 대한 부담은 정(+)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가치관의 세부영역에서는 자녀의 필요성, 자녀에 대한 가치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odel 2의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부의 정책신뢰 수준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 출산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정부정책신뢰’와 출산·양육을 둘러싼 ‘사회 환경인식’이 상호작용의 효과를 발휘할 때, ‘출산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생애주기(미혼기, 기혼 무자녀, 기혼 유자녀)에 따른 집단 간 출산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유자녀집단에서 출산의도가 2.3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 1.61명, 미혼집단은 1.15명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별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혼집단은 개인 가치관과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는 개인 가치관만이 출산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 유자녀집단에서는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사회 환경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신뢰’이론을 토대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통해 초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사회구조와 개인의 가치관 등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시도한 점이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것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정부정책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 출산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정책설계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실시하기 위해 개인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화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31
69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41
6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4
67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50
66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9
65 13 인구 미래 인구예측과 저출산ㆍ고령화 정책의 실천적 대안 / 유현종 2016  362
64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7
63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2016  191
62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21
61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2016  224
60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7
59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51
58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9
57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9
56 13 인구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희정 2016  322
55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95
54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5
53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71
52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1
51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