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1890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Population Policy in Korea - a Human-Rights Perspective -

  • 저자[authors] 전광희(Jun, Kwang-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인구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구정책,인권의 관점,성·출산의 권리,초저출산,루마니아 차우세스쿠 시대,인공임신중절,출산근접요인,Population Policy,Human-Rights Perspective,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Lowest-Low Fertility,Era of Ceau?escu in Romania,Pro-natalist Policy,Induced Abortion,Proximate Determinants of Fertility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인구정책을 인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다. 일반적으로 인구정책은 출생, 사망, 이동이라는 개인의 행동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결과가 사회문제로 인식될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인구정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목적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책수단을 검토하고, 인구정책이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인권의 문제가 결부되는 만큼 그와 관련된 인권문제를 검토한다. 또,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사상을 살펴보고, 인구정책과 관련하여 1970년대 루마니아의 차우셰스쿠 시대를 회고하면서, 한국의 출산장려정책과 인권문제의 딜레마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있는 인구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할 필요성을 강조하도록 한다. 한국의 초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여성의 권리, 특히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방법으로 인구정책이 시행되는 것은 곤란하며,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출산억제시대의 비민주적 행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그것은 인구정책의 적폐(積弊)라고 할 만하다. 여성들의 “출산의 권리”(reproductive right)를 제한하여, 원치 않는 임신에 대해서도 낙태금지를 법제화하는 방식으로는, 초저출산 문제가 일시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지속가능한 인구체제를 만들어내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한다.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population policies from a human-rights perspective. Generally, population policies are attempts to find solutions to social problem when collective expression of individual demographic behavior such as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re designated as social problems. This study reviews policy definition and tools, and the relevance of human rights perspective for population policies, as wells as the evolution of population thoughts on human rights, and proceed to reflect on the era of Ceaușescu in Romania, when pronatalism and decree 770 criminalize induced abortion in 1970s.    This study gives a strong emphasis to the fact that we need to redirect population policy to find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conflict between population target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this regard, population policies should not accumulate past non-democratic, authoritarian practice as a way of coping with the ultra-low fertility facing this country. Instead,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population policies which include greater concern with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of women concerned, as well as western family-based policies particularly on financial incentives and work-life balan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인구정책의 정의와 수단  Ⅲ. 인권과 인구정책  Ⅳ.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사상  Ⅴ. 한국의 낙태규제 논란과 루마니아 차우세스쿠 시대의 교훈  Ⅵ. 한국의 최저출산 전환과 인구정책의 재정립  Ⅶ. 종합과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90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89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88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87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6
86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7
8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8
84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8
83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10
82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11
81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4
80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9
79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20
78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5
77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9
»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31
75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4
74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4
73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72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4
71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