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72627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저자[authors] 송이은,김지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5[2018]
  • 발행처[publisher]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1-1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가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이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서 완전히 벗어나 가족을 구성하는 구성원 개개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부모가족은 이혼이나 사별 혹은 비혼 등 개인의 혼인 관련 상태와 출산이라는 생애경험이 결합한 상황으로써 다양한 가족형태가 확산과 모든 가족형태를 일반적인 가족형태로 하는 사회적인 인식확산을 통해 저출산 해소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인식변화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현재 한부모 집단이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어떤 부분이 있는지에 대한 탐색 작업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 분석결과 건강/경제/교육/사회가 주요 키워드로 포착되었다(검색어: 한부모, 편부모, 편부, 편모 _ 편부모, 편부, 편모 등은 부적절한 용어이나 여전히 기사 등에 쓰이고 있기에 검색어에 포함함). 이 결과에서 주목 할 만한 것은 해당 결과에서 아동이나 자녀들에 대한 키워드들이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크게 두 파트로 구성된다. 먼저, 한부모가족 및 저소득 여부가 부모의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한다. 기존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한부모가 배우자가 있는 부모에 비해 신체건강이 더 좋지 않으나 이것이 가족구조 혹은 형태로 인한 불이익인지는 검증이 필요하다. 한부모의 건강상 불이익은 저소득층이 아닐 경우에는 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구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해당 불이익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성인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5차년도, 8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5세 미만 자녀가 있는 남성 2,240명과 여성 2,321명이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 양부모에 비해 신체건강수준이 유의미하게 낮다는 가설은 여성 한부모 집단에서만 지지되었다. 둘째, 한부모라도 소득중상층인 경우는 소득중상층 양부모보다 신체건강수준이 낮지 않다는 가설이 여성한부모와 남성한부모 집단 모두 지지되었다. 셋째, 저소득 한부모는 중상위소득 양부모보다 신체건강수준이 크게 낮다는 불이익증폭 가설 역시 여성한부모와 남성한부모 집단모두에서 지지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이 연구의 두 번째 분석으로 한부모가족 및 저소득인 집단에서 미성년자녀의 정신건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어떠한 곤란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가족관계인 가족갈등에 주목한다. 사회적, 정책적으로 불평등을 경험하는 저소득한부모 집단 내에서도 이중적인 불평등을 경험할 수 있는 자녀 즉 아동청소년에 주목한다. 미성년 자녀들은 경제적으로도 그리고 가족내 관계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를 점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며, 이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권리의 관점에서 내적갈등과 외적갈등에 주목하고 이것이 자녀(아동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가족갈등과 관련한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주요 갈등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결과  4. 가족 및 건강 정책 해외사례 검토: 스웨덴과 유럽의 지역사회 참여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6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발행년 2018 

  • 조회 수 196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발행년 2019 

  • 조회 수 538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96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발행년 2019 

  • 조회 수 349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6

13 인구 일본의 합계출산율 상승기점의 정책 변화에 관한 고찰 / 오미희

발행년 2019 

  • 조회 수 318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32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5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55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8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4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36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제 / 변수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2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5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199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