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가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2552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licy Effectiveness about Childbirth Grant as Policies in Response to Low Birthrate: Focused on 25 Districts(Gu) in Seoul


 
제어번호 101962552
저자명 김민곤 ( Min-gon Kim )  , 천지은 ( Ji-eun Cheon )
학술지명 국가정책연구(Public policy review)
권호사항 Vol.30 No.2 [2016] 
발행처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3-190(2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통계청의 집계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24명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1990년대 이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현황이다.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심화된 저(低)출산 현상은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 현상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에 중앙정부 외에도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출산장려금과 같은 출산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2014년 출산율이 0.98명으로 지난 2000년 1.26명 이후 계속 감소하여 현재 주요 광역 자치단체들 중에서 출산율이 가장 하위순위에 위치하는 저조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 중 시행초기부터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자체 예산으로 집행되어 자치단체별 차별적인 정책집행 및 정책수혜가 나타나고 있는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을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출산장려금이 얼마나 출산율 증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다중회귀분석과 같은 실증적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한 다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장려 정책의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출산장려금 정책은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혼인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치구별 소득수준, 고령인구비율, 이혼율, 조혼인율, 보육시설수준, 의료시설수준 등의 변수들이 출산율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저출산율  , 출산장려금 정책  , 다중회귀분석  , low birthrate  , childbirth grant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 인구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희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8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275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158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발행년 2016 

  • 조회 수 246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발행년 2016 

  • 조회 수 964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발행년 2016 

  • 조회 수 224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6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5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7

13 인구 미래 인구예측과 저출산ㆍ고령화 정책의 실천적 대안 / 유현종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7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03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24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13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4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발행년 2016 

  • 조회 수 2206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4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발행년 2010 

  • 조회 수 1035

13 인구 시도별 저출산 원인 연구 / 백현희

발행년 2012 

  • 조회 수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