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953631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저자

    소현정                                       

  • 형태사항

    iv, ii, 9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응렬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p. 83-9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2007.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7                                                                                                                                                            

  • 초록 (Abstract)
    •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저하 현상과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저출산 ...
  •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출산율 저하 현상과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저출산 현상은 가부장적 사회 문화, 여성의 고학력화에 따른 사회 참여 증가, 열악한 육아 환경과 교육비 등의 기회비용 부담, 실업 및 고용 불안정 등의 경제적인 문제가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심각한 저출산은 경기의 둔화,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부양․수발 문제를 둘러싼 세대 간의 갈등을 초래한다. 고령 인구는 증가하는데 비해 이들을 부양․수발할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저출산 현상의 해결을 위해서는 육아비 보조, 사교육비 절감, 공교육의 내실화 등의 사회적인 지원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육아의 기회비용에 대한 지원이 확실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 수당의 내실화,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설의 확충과 안전성 확보, 사교육비 경감 방안 등이 요구된다. 부모가 아이를 직접 양육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보육의 사회화’라는 시대적인 추세 속에서 사회 전체가 육아와 양육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취업모에 대한 노동 환경 개선과 복지 서비스 지원은 모성 자원을 보호하면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지속적인 저출산은 인구 고령화와 직결된다. 인구 고령화는 일반적으로 의료 보급과 서비스 급부의 일반화로 인한 평균 수명 신장, 출산율 하락, 생활 환경의 변화, 예방 의학의 발달과 정신 보건 정보의 보급에 의한 장수화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는 노인부양비 증가와 생산 인구 감소로 인해 세대 간의 갈등을 증폭시키고, 전반적인 사회적 부담의 증가로 사회 전체에 커다란 변화를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연금이나 의료 보험과 같은 사회보장비용 증가와도 연관되어 사회 구성원에 대한 사회보장이라는 안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생산 인구 감소와 노인부양비 증가로 국가 재정은 악화되고, 그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은 갈수록 첨예화될 전망이다.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노인 인구의 소득 보장 확보를 돕는 고용 기회 확대와 같은 생산적 복지 정책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대책은 현재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중요한 과제이기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합계출산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직장에서는 출산과 육아 제도를 확립하여 휴가 사용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남성에게는 육아 활동과 가사 활동을 할 수 있는 의식 변화와 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사회 전체가 육아에 참여할 수 있는 ‘보육의 사회화’가 출산율의 저하를 막는 방도가 된다. 인구 고령화의 대책은 노인이 흔히 직면하는 경제적, 신체적 및 정서적 의존성에 대해 지원함으로써 자립 생활을 할 수 있는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다. 노인이 지닌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노인이 노동 생산 활동에 참여하기 쉬운 환경이 속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목적 및 범위
  • 제 2 장 기초 개념과 이론적 배경
  • 1. 기초 개념
  • (1) 합계출산율
  • (2) 고령화 및 고령사회, 고령시대의 개념 및 특성
  • (3) 노인부양지수
  • 2. 이론적 배경
  • (1) 소득과 출산력 간의 상관 이론
  • (2) 경기 둔화 이론
  • (3) 기회비용 이론
  • (4) 성역할 이론
  • 제 3 장 저출산의 실태와 사회적 영향
  • 1. 저출산의 실태와 경향
  • (1) 저출산에 대한 경향 분석
  • (2) 저출산의 원인
  • 2. 저출산과 사회문제
  • (1) 인구고령화
  • (2) 가족 기능 약화
  • (3) 생산 인구 감소
  • (4) 사회보장비용 증가
  • 제 4 장 인구 고령화의 실태와 사회적 영향
  • 1. 인구 고령화의 실태와 경향
  • (1) 인구 고령화에 대한 경향 분석
  • (2) 인구 고령화의 원인
  • 2. 인구 고령화와 사회문제
  • (1) 인구 고령화와 세대 갈등
  • (2) 노인부양비 증가와 경제 성장의 둔화
  • (3) 초고령 노인 인구 급증
  • 제 5 장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
  • 1. 인구가족 정책
  • 2. 고용인력 정책
  • 3. 복지 정책
  • 제 6 장 결론
  • 참고문헌
  • 표 목 차
  • <표 2-1> 잠재적 부양비의 변화 추이
  • <표 3-1> 국별 합계 출산율(2006년 유엔인구기금 기준)
  • <표 3-2> 미혼 남녀(20~24세)의 현재 결혼하지 않은 이유
  • <표 3-3> 고교 및 대학대학교 진학률
  • <표 3-4> 기혼 여성의 사교육을 받는 자녀수별 월평균 사교육비
  • <표 3-5> 연령 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
  • <표 3-6>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연도별 변화
  • <표 3-7> 생산가능인구의 연령층별 변화 추이
  • <표 4-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 <표 4-2> 인구 고령화 속도 추이
  • <표 4-3> 인구 변동 추이
  • <표 4-4> 평균 수명 추이
  • <표 4-5> 합계출산율
  • <표 4-6> 가임 여성 인구의 연령별 변화 추이
  • <표 4-7> 초고령 노인 인구 및 전체 노인 인구 대비 비율
  • 그 림 목 차
  • <그림 2-1> 합계출산율 공식
  • <그림 2-2> 노인부양지수 공식
  • <그림 2-3> 노인부양지수의 변화 추이
  • <그림 3-1> 기혼 여성의 자녀 필요성에 대한 태도 변화
  • <그림 3-2>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 추이
  • <그림 3-3> 남녀 평균 초혼 연령 추이(단위: %)
  • <그림 3-4> 경제적 문제로 인한 이혼 추이(단위: %)
  • <그림 3-5> 생산가능인구의 연령층별 변화 추이(단위: 천 명)
  • <그림 4-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추이
  • <그림 4-2> 한국의 인구 구조 변화 전망(단위: 만 명)
  • <그림 4-3> 인구 구조 변동 추이 및 전망
  • <그림 4-4> 한국인의 평균 수명 추이(단위: 세)
  • <그림 4-5> 합계출산율 국제 비교
  • <그림 4-6> 한국의 가임 여성 인구 변화 추이(단위: 천 명)
  • <그림 4-7> 고령화의 추이 및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110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109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4
10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6
107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1
106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1
105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65
104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5
103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70
10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71
101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3
100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8
99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81
98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6
97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96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8
95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99
94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101
93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2
92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9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