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535403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저자

    원정원                                       

  • 형태사항

    viii, 123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 정책학과 2004. 8

  • 발행국

    대구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가 제시되는 현실에서 저출산의 원인이 여성만의 문제인지 사회전반의 흐름과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보며 지역여성의 출산에 대한 기대치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이라는 사회문제가 제시되는 현실에서 저출산의 원인이 여성만의 문제인지 사회전반의 흐름과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보며 지역여성의 출산에 대한 기대치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위해 경기도 평택시와 경상북도 고령군으로 한정해 인구학적 측면과 사회학적 측면의 저출산 실태와 개인, 가정, 사회 및 지역적 측면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한 원인분석을 해보면서 지역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지방분권시대 지역 경제의 기반인 인구안정을 위한 출산정책과 지역사회가 인식해야 할 사회문제 및 다양한 여성관련 정책수립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저출산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문헌과 자료를 통해 출산의 의의와 저출산의 원인으로 강하게 주장된 정책적인 60년대 가족계획 사업에서부터의 정책변화과정을 거쳐 저출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인구학적으로 노동력의 부족과 소비시장의 위축으로 국가경쟁력의 상실에 이르는 단편적인 면과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사회 경제적인 고령화의 가속도의 심각성으로 사회보장적 서비스의 증가를 불러와 재정적 압박으로 연결되어지는 연쇄적인 면을 통해 국내의 저출산 동향과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현재 우리의 위치를 자각해 보는 계기를 가졌다.
    여성 저출산의 실태와 원인분석을 위해 조사대상을 경기도 평택시와 경상북도 고령군을 모집단으로 응답이 용이한 단순문답식 40문항으로 구성해 지역내 가임여성 (만15~44세) 으로 한정해 집단 및 개별 설문조사를 실시, 조사대상 300명중 회수된 246부를 분석 활용하여 통계작업을 통한 모든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0.0 한글판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간의 차이 검증과 항목간의 빈도 및 교차분석을 통해 조사결과를 분석했다.
    도시형의 평택시와 농촌형의 고령군을 배경으로 실증적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종래의 사회 · 경제 · 문화적, 지역적 변수들은 출산력 저하에 대한 영향력이 미약한 것처럼 보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가족계획보다 사회 · 문화적, 경제적, 지역적 변수들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제시하면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산가정의 여성가치관, 교육수준, 개인능력, 건강문제, 취업상태, 경제력, 직업에 대한 태도, 거주만족도, 출산연령과 결혼시기, 시회참여, 개인주의, 교육과 양육의 부담, 인구이동, 출산제도 등 다양한 변수가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여성의 가치관과 출산가정의 일반적 특성과 지역형태의 변수, 출산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특성 중 정부의 보육 및 공교육과 여성관련 제도와 지역별 경제문화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갖으며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여성이 출산을 하고자 하는 기대치를 높이기 위한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통와 정서에 따른 민족적 근본이 아직은 출산의 잠재성을 지닌 두 지역을 통해 남아있음을 알았고 이를 활용한 긍정적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홍보, 교육을 통해 서구화되는 가치관보다 한국적인 정서를 통한 자국민과 지역을 지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면서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화된 맟춤식 지방자치정책과 더불어 중앙의 통일되고 소득층에 따른 분배적인 출산 및 관련정책의 조화를 통해 지역과 사회가 원하는 합리적인 발전방향으로 여성의 저출산 제고방안이 접근되어져야 하겠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2
  • 제 3 절 연구의 범위및 방법 = 4
  • 제 2 장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배경 = 6
  • 제 1 절 출산과 저출산의 의의와 사회적 영향 = 6
  • 제 2 절 국내외의 저출산 동향과 정책 = 21
  • 제 3 절 연구 분석의 틀 = 50
  • 제 3 장 저출산에 관한 실태분석 = 53
  • 제 1 절 인구학적 측면 = 53
  • 제 2 절 사회경제적 측면 = 57
  • 제 4 장 저출산에 관한 조사결과 및 원인분석 = 60
  • 제 1 절 조사개요 = 60
  • 제 2 절 조사결과 = 62
  • 제 5 장 여성의 출산율 제고방안 = 83
  • 제 1 절 분석결과의 요약 = 83
  • 제 2 절 여성출산율 제고 방안 = 87
  • 제 6 장 결론 = 92
  • 1. 요약 = 92
  • 2. 제언 = 95
  • 참고문헌 = 101
  • 부록 = 107
  • 영문초록 = 119
  • 국문초록 = 12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110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109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4
10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6
107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1
106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1
105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65
104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5
103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70
10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70
101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3
100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5
99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80
98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2018  84
97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96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96
95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8
94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100
93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1
92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3
9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