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53831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Analysis on the cause of low fertility rate in society and the impact on economy

                                         

  • 저자

    김현무                                       

  • 형태사항

    vii, 43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2010. 8

  • 발행국

    전라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지난 30년 동안 출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1.5 혹은 그 이하의...
  • <국문초록>

    지난 30년 동안 출산율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다. 그리고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 1.5 혹은 그 이하의 출산력 수준을 보이는 국가의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저출산의 확산과 함께 합계출산율이 1.3 이하를 의미하는 초저출산 현상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 급격히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저출산 현상의 원인은 인구학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요인 등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출산 원인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문제는 이러한 저출산 기조를 방치할 경우 장래에 총인구는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와 노동력이 줄어들어 성장동력을 잠식하게 될 뿐 아니라 젊은 세대 부담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세대 간 마찰을 유발하고 사회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고령화 현상에 대해서는 먼저 고령인구의 취업률 제고를 통한 생산적 고령화를 지향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겠고 지속적인 고령화로 연금지출이 증가하고 저출산에 의한 연금납부자의 감소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연금개혁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또한 노인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저출산 대책은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경제활성화, 부동산 안정, 공교육 확립, 일과 가정의 양립 기분 구축 및 양성평등의 가치관 확립 등으로 정부의 전 부처를 망라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하여야 하리라 사료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2
  • 제2장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문제점 4
  • 제1절 저출산의 현황 4
  • 제2절 저출산의 원인 분석 7
  • 1. 인구학적 요인 7
  • 2. 경제적 요인 8
  • 3. 사회문화적 요인 11
  • 4. 정책적 요인 13
  • 제3장 인구 고령화 문제 15
  • 제1절 고령화의 현황 15
  • 제2절 고령화의 문제점 17
  • 제4장 저출산의 문제점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2
  • 제1절 저출산의 문제점 22
  • 제2절 저출산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7
  • 1. 경제적 측면의 파급 효과 27
  • 2. 노동 측면의 파급효과 33
  • 제5장 결론 40
  • 참고문헌 42
  • 국문초록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9
89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3
88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64
87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86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60
85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76
84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83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2012  441
82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4
8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8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3
79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8
78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77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70
76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75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1
74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7
73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72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71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