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685044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Empirical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the low fertility : Aronnd the whole country and 16 cities&provinces

                                        

  • 저자

    서상록                                       

  • 형태사항

    vii, 6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단면인쇄임
    지도교수: 김서훈
    참고문헌: p. 66-6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품질정책 전공 2009.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 초록 (Abstract)
    • 2005년도의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Total Fertility Rate) 유사 이래 가장 낮은 1.08명을 기록하여 미국의 인구조회국(Population Reference Bureau)에서는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도 ...
  • 2005년도의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Total Fertility Rate) 유사 이래 가장 낮은 1.08명을 기록하여 미국의 인구조회국(Population Reference Bureau)에서는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도 제일 낮은 출산수준으로 이러한 저출산 현상이 지속될 경우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국가경쟁력이 약화됨은 물론 경제성장 둔화와 국가재정부담이 커져 사회혼란이 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의 원인이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하고 준비해야 하는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저출산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인구·가치관적요인"과 "경제·사회적요인"의 두가지로 나누어 저출산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델을 설정하였다. 각 분야에서는 정량화가 가능한 실증 자료들을 찾아내어 저출산의 설명(분석)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복합적으로 연계된 상호작용에 의해 합계출산율(TFR)에 영향을 미친다. 선정된 설명변수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들로 구성된 최적의 합계출산율 회귀모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전국의 합계출산율(TFR) 회귀모형에서는 “경제·사회적요인”보다 “인구·가치관적요인”이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시·도 지역의 합계출산율 회귀모형에서도 “인구·가치관적요인”의 변수가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간에는 인구구조와 사회문화적 환경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각각의 합계출산율(TFR)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가 달랐으며 지역별로 선택된 변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합계출산율(TFR)에 미치는 영향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합계출산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들간에 저출산 원인과 영향정도가 다름을 인식하고 각 지역에 알맞은 출산율 제고 정책을 시의적절하게 수립하여 시행함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3절 저출산에서 오는 현안문제 4
  • 제2장 저출산 현황 10
  • 제1절 출산력의 이해 10
  • 제2절 저출산 추이 및 특성분석 11
  • 제3장 저출산의 영향요인 18
  • 제1절 인구·가치관적요인 18
  • 제2절 경제·사회적요인 26
  • 제4장 자료분석 및 TFR 모형 추정 32
  • 제1절 가설설정 32
  • 제2절 저출산원인 분석모델 설정 33
  • 제3절 일변량 회귀분석 34
  • 제4절 다중회귀모형 분석 41
  • 제5절 TFR의 최고·최저 및 시·도 지역간 차별출산력 분석 46
  • 제5장 결과분석 및 시사점 60
  • 제1절 가설검정에 대한 결과 60
  • 제2절 저출산 영향요인에 대한 종합평가 63
  • 제3절 시사점 64
  • 참고문헌 66
  • ABSTRACT 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4
50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5
49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7
48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60
47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65
46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7
45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6
44 13 인구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 이연주 2008  277
43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2
4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고용정책 개선방안 연구 / 이정란 2012  314
4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7
40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8
39 13 인구 일본의 합계출산율 상승기점의 정책 변화에 관한 고찰 / 오미희 2019  319
38 13 인구 건강보험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희정 2016  321
37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36 13 인구 저출산 극복을 위한 선교적 과제 : 출산과 재출산을 위한 살림의 신학 / 박은주 2017  333
35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2016  333
34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50
33 13 인구 미래 인구예측과 저출산ㆍ고령화 정책의 실천적 대안 / 유현종 2016  362
32 13 인구 시도별 저출산 원인 연구 / 백현희 2012  364
31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