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77294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Ethics for Cloned Human Beings: <Never Let Me Go>

http://www.riss.kr/link?id=A103477294 

• 저자명 : 김미혜(Mihye Kim)
•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 : Vol.17 No.8 [2017]
• 발행처 :한국콘텐츠학회(The Korea Contents Society)
• 발행처 URL : http://www.koreacontent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121-129(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복제 인간 ,가즈오 이시구로 ,네버렛미고 ,장기 기증 ,생명공학 ,Clone ,Kazuo Ishiguro ,Never Let Me Go ,Organ Donation ,Biotechnology

초록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해 복제 인간을 만들기 위해 인간의 유전자를 복제한다는 가상의 시나리오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 <네버렛미고>의 등장인물들은 100세 수명기획에 의해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복제 인간들이다. 이들은 해일샴이라는 학교에서 공동생활을 하면서 은밀하게 사육되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불치병에 걸린 진짜 인간 환자들에게 건강한 장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 캐시, 토미, 그리고 루스는 사춘기 시절 이곳에서 육체와 의식의 성장을 경험하며 자신들이 복제 인간이라는 정체성의 비밀도 알게 된다. 성인이 되어 이들은 두 번째 거주지 코티지로 이동하여 장기기증을 시작할 준비를 한다. 두 번째 단계 또한 좀 더 진짜 성인 인간의 장기와 유사한 장기를 만들어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인간들이 꾸민 모든 계획을 다 알고 있지만, 이들은 그것에 대해 저항하지 않고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숙명적으로 수용한다. 그러나 이들의 무저항은 삶에 대한 포기 선언이 아니라 자신들의 장기 기증을 통해 생명의 연장이라는 또 다른 미래를 위한 자기희생적 생명 연장이다. 영화는 복제된 인간들의 우애와 희생적 태도를 강조해서 보여줌으로써 난치병의 치료를 위한 생명공학과 생명윤리라는 상이한 견해에 대해 철학적 사유가 뒷받침된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복제 인간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들어가는 말
II.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 해일샴의 아이들
III. 교육하지 않는 사육자들: 해일샴의 교사들
IV. 존재하지 않는 존재자들: 장기 이식의 수혜자들
V. 맺는 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6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7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88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발행년 2012 

  • 조회 수 55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09 

  • 조회 수 4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