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81281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Inquiry Survey of Infertile Couples for Sperm Don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 저자[authors] 김인화,김지현,박민정,강성민,조영석,김태연,박남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4[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2-25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초록[abstracts] 
[연구배경: 비배우자  인공수정은  남성  인자에  의한  난임부부에게  가임의  기회를  제공하는  시술로  적절한  의학적, 법률적, 윤리적  검토가  필요한  시술이다. 본  연구는  정자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0월부터 4주 동안 전국 12개 기관에 방문한 난임 부부 247명을 대상으로 정자 기증, 보관및 수증 체계 관련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된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도별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인식 변화는 국내 학술지 연구 논문검토  후  시행하였다.  결과:68.2%의 응답자가 남성 난임 환자의 증가에 대해인지하였으며, 83.2%가 난임 치료 목적으로 정자은행이 필요하며, 40.7%가  정자  기증  및  수증에  대해  알고  있다고응답하였다. 타 연구 결과와의 비교 연구에서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주  정보의  취득원은  의사가 37.5% (2003), 39.5% (2014)에서  가장  많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TV나  라디오 등 대중 매체가 49.6% (2016)로 가장 많았다. 태어난출생아에  대한  비배우자  인공수정의  고지는 4.0% (2003), 9.0% (2014)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42.8% (2016)로 급격한  의식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 남성 난임 환자의 가임능에 획득에 대한 비배우자인공수정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공공  정자은행  운영에 앞서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의 제도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AID) is important to chance the pregnancy in male infertile couples by requiring appropriate medical, legal and ethical re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changes of AID to collect th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the sperm donation, cryopreserv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management system.  Methods:We evaluated the people’s thought of sperm donation, cryopreserv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by means of national inquiry survey from 247 infertile couples for 4 weeks from October 2016.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4 areas, and each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item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ID by year were investigated after review of domestic journals.  Results:67.6% of respondents knew the growth of couples with difficulty getting pregnant due to male infertility.  82.2% of respondents replied the necessary of sperm bank as a treatment option for infertility and 40.5% knew the donation and receipt system of sperm. In the survey of change perception of AID according to year, 37.5% and 39.5% of respondents were got information about AID from doctor in 2003 and 2004, but 49.6% from broadcasting in 2016. As a child grows up, 4.0% (2003), 9.0% (2014), and 42.8% (2016) of respondents answered to tell the child about AID.  Conclusions:Infertile couple’s thought of AID about the extension of opportunities for male infertility treatment is change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stitutional system of sperm donation, cryopreserv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prior to public sperm bank oper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37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발행년 2005 

  • 조회 수 370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발행년 2001 

  • 조회 수 36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발행년 2007 

  • 조회 수 35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발행년 2001 

  • 조회 수 353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5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4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6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3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21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9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6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