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Vol.14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86277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Articles : Constitutional Debates over Surrogacy




초록 ( Abstract )

  • 이 논문은 생식보조의료로서의 대리출산을 헌법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특히 대리출산과 관계된 대리출산의뢰자, 대리출산자, 출생아 등 관련 주체의 개별 기본권을 중심으로 대리 출산의 ...
  • 이 논문은 생식보조의료로서의 대리출산을 헌법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특히 대리출산과 관계된 대리출산의뢰자, 대리출산자, 출생아 등 관련 주체의 개별 기본권을 중심으로 대리 출산의 헌법적 정당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생식의료기술의 발달에 의한 대리출산은 아이를 원하는 커플의 현실적 희망을 실현시키 는데 일정 부분 도움이 되는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리출산 자체의 윤리적 문제는 물론이고 그 다양한 유형에서 기인하는 법률적 난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빈곤국 여성들이 대리출산의 도구로 이용되는 등 인권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대리출산에 대하여는 여러 개별법적 논의에 우선하여 대리출산 자체의 헌법적정당성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대리출산은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내용으로 자기결정권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이것도 헌법상 기본권 제한의 대상이 된다. 특히 대리출산 등 아이를 가질 권리의 인정 여부를 떠나서 그 권리의 제약에 집중해야 한다. 대리출산의 경우 출산을 의뢰받은 제3자의 권리와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3자의 권리를 해하면서까지 의뢰자가 자신의 ‘아이를 가질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다. 설사 대리모계약 자체는 유효하다고 생각할 수 있더라도, 그러나 법의 세계에서는 이 계약이 법에 위반하는 내용에 해당하고, 또한 법이 아니더라도 공서양속에 반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무효가 된다. 또한 대리모로 되는 여성이 계약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유의사에 기초하여 계약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빈곤 등 경제적 이유에 의해 부득이 한 계약에 응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아무리 생식에 대한 권리나 아이를 가질 권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경제력이나 압력에 의해 타인을 이용하여 그 소망을 이루는 권리까지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대리출산과 관련해서는 자기결정권만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개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이나 인권의 본질, 아이의 이익, 사회의 이익이나 국가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폭넓은 시야와 깊은 통찰력이 요구된다. 대리출산을 두고 벌어지는 많은 법적 문제도 여기서 그 해답을 찾아야하고, 그 헌법적 논의의 결론도 바로 여기에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2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2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발행년 2008 

    • 조회 수 10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발행년 2004 

    • 조회 수 102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발행년 2009 

    • 조회 수 102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2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발행년 2002 

    • 조회 수 101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1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발행년 2013 

    • 조회 수 9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발행년 2010 

    • 조회 수 98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발행년 2003 

    • 조회 수 98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발행년 2016 

    • 조회 수 98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98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발행년 2007 

    • 조회 수 9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발행년 2016 

    • 조회 수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