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29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98911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Leftover’ Embryos and Ova for Research: Contested Meanings of Waste, Body and National Development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에서는 불임클리닉에서 생산되는 ‘잔여’ 배아와 난자를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폐기물’과 신체, 국가 발전 등의 개념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
  • 이 연구에서는 불임클리닉에서 생산되는 ‘잔여’ 배아와 난자를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폐기물’과 신체, 국가 발전 등의 개념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황우석 사건 이후 생명윤리법이 개정되고 배아 줄기세포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지만, 황우석 사건에 연관된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고지된 동의’와 절차적 정의의 문제로 너무 쉽게 환원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아이를 위해 만들고 남은 것이라는 ‘잔여’라는 개념은 난자와 배아의 사용을 정당화해왔다. 그러나 ‘잔여’ 배아와 난자는 자명한 것이 아닌 논쟁적인 대상물로, ‘생명’과 ‘폐기물’의 의미, ‘경제적’, ‘윤리적’인 것의 의미, 국가발전에 대한 기대 등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 단지 과배란 호르몬의 도입이라는 기술적 요인 뿐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요인들이 많은 양의 난자와 배아를 보관하고 연구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맥락이다. 이 연구는 불임클리닉의 연구자 및 생명윤리학자, 배아 및 난자 기증 여성 등과의 면접 및 관련 문헌의 분석을 통해 ‘잔여’ 배아와 난자의 의미가 여러 이해관계 속에 위치하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들과 연동함을 보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 여전히 ‘국가 발전’을 위해 규제를 풀어야한다는 인식, 효율성과 빠른 연구결과 생산이 중요시되는 연구 환경, 환자-의사의 권력관계의 문제들이 남아 있었다. 지배적 관점의 변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제도적 규제를 넘어, 경제와 효율성의 언어로 과학기술과 신체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이 중요하다.



    목차 ( Index )

    Ⅰ. 들어가며

    Ⅱ. 생명과학기술과 경계의 구성

    Ⅲ. 한국에서 불임클리닉의 성장

     Ⅳ. 경합하는 ‘잔여’ 난자와 배아에 대한 인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588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발행년 2011 

    • 조회 수 58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59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6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발행년 2010 

    • 조회 수 601

    14 재생산 기술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 천현순

    발행년 2014 

    • 조회 수 60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발행년 2016 

    • 조회 수 624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발행년 2013 

    • 조회 수 628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62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 박승근

    발행년 2009 

    • 조회 수 6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64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발행년 2014 

    • 조회 수 651

    14 재생산 기술 조기 태아성별 확인법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구인회

    발행년 2013 

    • 조회 수 65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의 정체성과 생명권 / 구인회

    발행년 2014 

    • 조회 수 661

    14 재생산 기술 불임 여성들의 통합의료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 김이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4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 과정과 여성의 재생산권(reproductive rights)에 관한 연구 / 조영미

    발행년 2004 

    • 조회 수 67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68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 시대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 이동호

    발행년 2002 

    • 조회 수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