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A Study on legal regulations for baby"s right to life : around a matter of abandonment of baby and babybox



  • 제어번호 :    101779067

    저자명   :     엄주희(Eom, Juhee)                       

  • 학술지명  :  서울법학                

    권호사항  :  Vol.23 No.3 [2016]     

    발행처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91-124(3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6년

    재정보   :   KCI등재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 주제어

    영아유기 ,생명권 ,자기결정권 ,익명출산 ,비밀출산 ,혼인과 가족의 보호 ,abandonment of a baby ,right to lif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onymous birth ,secret birth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베이비박스는 중세 때 양육이 곤란한 사람들이 아이를 맡기도록 하기 위하여 종교시설과 고아원 담장에 설치되었던 전통에서 시작하여 2000년 전후로 세계 여러나라에 설치되었다. 국내 유일의 베이비박스가 2009년도부터 설치 운영되고 있는데 2013년도 입양특례법으로서 입양허가제가 도입된 이후에 영아유기가 급증하고 베이비박스에 들어오는 영아의 수도 급증하였다. 베이비박스 이용행위와 영아유기의 문제점을 규범적으로 살펴보고 해외의 입법례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베이비박스에 영아를 두는 행위는 영아유기죄의 위법성이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책 조항을 두어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영아를 양육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사람이 영아를 유기하지 않고 국가와 사회에 맡길 수 있는 최후 수단으로서 베이비박스가 기능하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권 보호의 문제가 된다. 세 번째 영아의 양육과 성장에 대해 국가가 부모와 더불어 공동의 책임을 부담한다. 가정 내 양육되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양육에 관한 직접 급여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네 번째 혼인과 가족의 보호라는 헌법적 요청은 친생모의 자기결정권과 동시에 영아의 친생부모를 알권리와 친생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 등을 통해 혼인과 가족생활을 스스로 결정하고 형성할 자유를 보장한다. 전세계적으로 베이비박스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독일과 체코에서 익명출산과 비밀출산을 법제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영아의 복리 증진과 친생모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는 사례가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범적 고찰
  • Ⅲ. 해외 베이비박스 법제 현황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2005  161
    105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104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
    103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102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
    10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10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배아이식 후 한방치료를 병행한난임환자 61례에 대한 결과 분석 보고 / 배상진 2015  152
    99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 치료 시술에 따른 비용 분석 / 김윤정 2015  151
    98 14 재생산 기술 한국형 공공정자은행의 설립과 운영 / 박남철 2016  151
    9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9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9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상실에 관한 질적 연구 / 전순초 외 2018  149
    94 14 재생산 기술 이중결과론은 남은 배아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 이향연 2019  149
    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김수갑 2009  147
    92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의 대리모 자궁내 이식에 의한 임신 / 이두룡 1991  144
    9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윤리에서 재생산권과 재생산 책임 / 김정아 2014  143
    9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인간복제는 새로운 책임윤리를 요청하는가? - 한스 요나스의 『기술,의료 윤리』를 중심으로 / 양해림 2003  143
    89 14 재생산 기술 중국의 냉동배아 상속안에 관한 법적 고찰 / 김현경 2018  141
    88 14 재생산 기술 자연임신 및 보조생식술에 의한 병합임신 2예 / 윤혜정 2011  138
    8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