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Analysis of Current Concept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Cloning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 저자

    임학빈                                       

  • 형태사항

    iv, 12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호
    단면인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85-8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반적인사회 요인들은 이런 기술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업적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생명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주기보다는 성과 위주의 일시적인 보도만으로 일관되어 있다. 더욱이, 한국의 최신 생물 교과서는 질적으로 양적인 면에서 관련된 기초 원리와 적용에 대해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다. 현행 교과서에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고 혼란을 주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본 연구는 복제에 관한 고교생들의 현재의 개념과 인식에 대한 것이다. 최종 설문은 82개의 질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 성, 종교, 학년, 대학진학예정에 따라 644명의 학생이 설문을 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 고등학생들이 생명 복제에 대해 거의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왜곡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들 사이에는 생명의 시작과 복제에 관한 내용이 미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I. 서 론
    • 1. 연구배경
    • 2. 연구의 필요성
    • 3. 연구목적
    • 4. 연구의 제한점
    • Ⅱ. 연구방법 및 분석
    • 1. 생명 복제에 관한 문항 작성
    • 2. 예비 설문 조사
    • 3. 설문 조사 실시
    • 4. 설문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
    • 5. 통계처리
    • Ⅲ. 연구결과
    • <학생들의 설문에 대한 변수별 응답>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설문지
    • <부록 2> 644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결과
    • <부록 3> 82개 문항 중 49문항의 선정
    • <부록 4> 분석을 할 7개 영역 35개의 문제
    • <부록 5> 설문 통계 처리 후 변수에 따른 유의성 존재
    • <부록 6> 7차 교육과정 생물Ⅰ, 생물Ⅱ 교과서 분석
    • <부록 7> 월간과학 잡지에 소개된 최근 13년간 복제 관련 자료
    • 초 록
    • 표 목 차
    •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 <표 2> 생명복제 정보에 대한 인지정도
    • <표 3> 생명복제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매체
    • <표 4> 복제 양 돌리의 출생국
    • <표 5> 복원하고 싶은 멸종 동물
    • <표 6> 월간 과학 잡지나 과학서적 구독 여부
    • <표 7> 대중매체를 통한 생명공학 내용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점
    • <표 8> 가장 기억에 남는 생명복제 소재 영상
    • <표 9>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을 가장 많이 받은 과목
    • <표 10>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 내용
    • <표 11> 생명복제 기술을 통한 가장 큰 이점
    • <표 12> 복제 소의 고기 거래 시 구매 의사
    • <표 13> 인간 생명의 시작 시기
    • <표 14> 복제 동물 탄생을 위해 쓰여 진 수정란의 수
    • <표 15>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의사
    • <표 16> 인간 복제에 대한 논문별 찬성/반대 비율
    • <표 17> 복제인간이 가장 먼저 탄생할 것 같은 국가
    • <표 18> 복제인간이 태어나면 안 되는 이유
    • <표 19> 생명윤리 교육을 받아야 하는 대상
    • <표 20> 인간이 유리한 쪽으로 변형되는 생명에 대한 인식
    • <표 21> 배아를 생명체로 인식하는 종교계 및 시민단체의 입장 지지 여부
    • <표 22> 배아 줄기 세포의 난치병 치료사용에 대한 찬성
    • <표 23> 생명복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가진 종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26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41
    »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40
    224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5
    223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222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221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220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4
    219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218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1
    21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8
    216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215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3
    214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213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21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황나미 2013  392
    21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21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209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3
    208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8
    207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