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682616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A) Life ethical study of a human clone

                    

 http://www.riss.kr/link?id=T8682616           

  • 저자

    신혜정                                       

  • 형태사항

    42p. ; 26cm .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 전공 2002. 8                                                          

  • 발행국

    경상남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2

초록 (Abstract)

  • 인간배아복제는 세계적인 논쟁거리이다. 윌멋 박사 팀의 복제양 돌리의 생산이후 세계적으로 찬반논리가 양분화되면서 국가별로 기준이 상이하여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
  • 인간배아복제는 세계적인 논쟁거리이다. 윌멋 박사 팀의 복제양 돌리의 생산이후 세계적으로 찬반논리가 양분화되면서 국가별로 기준이 상이하여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복제 시장의 한복판에 놓여 있으며, 찬반논리 또한 뜨거운 현실이다. 본문에서 찬성과 반대의 많은 논리들이 열거되어 있듯이, 복제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선뜻 어느 입장에 서야 할지 모호한 상태이다. 그만큼 복제는 지금까지 치유하지 못했던 불치병들과 또 생태계의 파괴, 장기 이식등 인간에게 수많은 이점들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문제점 또한 인간이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유전자가 조작된 동식물도 인간이 섭취하게 되었을 때 수많은 문제점이 일어난다. 하물며 인간을 조작하는 행위가 앞으로 어떤 미래를 가져다 줄 것인지, 우리는 이 시점에서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다.
    또한 무분별한 법적 허용은 인간복제에 대한 가능성을 더욱 부채질 하고 있는 형편이며, 지금까지 인간배아연구에 대해서 매우 강경한 입장을 취했던 서방의 여러 나라들도 점점 더 그 규제를 약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배아연구를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과학 연구에 대해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배아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생명체를 지닌 수정란을 가지고 현미경 위에서 갖은 조작을 한다는 점에서 반대하는 것이다.
    이제는 과학의 진보 위에서 한걸음 물러서서 인간 생명의 존엄을 다시한번 생각해 볼 때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II. 생명복제에 대한 이해 = 3
  • 1. 생명복제의 역사 = 3
  • 2. 생명복제의 과정 = 5
  • 3. 생명복제의 이점 = 9
  • 가. 희귀 동식물의 보전 = 9
  • 나. 장기 이식용 동물들의 생산 = 10
  • 다. 세포유전자 치료 = 10
  • 4. 생명복제의 문제점 = 11
  • III. 인간개체복제에 대한 이해 = 15
  • 1. 인간복제란 무엇인가? = 16
  • 가. 인간개체복제 = 16
  • 나. 인간배아복제 = 17
  • 다. 장기복제 = 19
  • 2. 인간복제에 대한 찬반 논의 = 20
  • 가.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이유 = 20
  • 나. 인간 복제에 대한 반대 이유 = 22
  • IV. 수정후 14일의 논쟁 = 24
  • 1. 인간의 배아복제에 찬성하는 이유 - 불치병치료의 획기적 방법 = 25
  • 2. 인간의 배아복제에 반대하는 이유 - 수정란도 보호해야 할 생명체 = 27
  • V. 생명복제에 대한 대응 방안 - 법률안과 규제장치의 마련 = 30
  • 1. 세계 각국의 인간복제에 대한 입법례 = 31
  • 가. 독일 = 32
  • 나. 영국 = 34
  • 다. 미국 = 35
  • 2. 국내의 입법 현황 = 36
  • 가. 법제화의 필요성에대한 담론 = 37
  • 나. 기존의 입법논의 = 38
  • 다. 입법제안 = 39
  • VI. 결론 = 40
  • ◆ 참고도서 =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6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285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5
28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5
28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5
282 14 재생산 기술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김성은 2015  85
281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4
28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279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278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27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276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275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8
274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27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100
272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271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0
270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100
269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268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267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