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과학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7648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Thirty Years of IVF in Korea: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Experts

                                   

  • 저자명

    하정옥 ( Ha Jung Ok )                                                         

  • 학술지명

    한국과학사학회지               

  • 권호사항

    Vol.36 No.1 [2014]                        

  • 발행처

    한국과학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3-102(4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초록 (Abstract)
    • This paper examines the 30-year history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Korea in terms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on IVF have consistently ranked South Korea as one of the countries with highe...
  • This paper examines the 30-year history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Korea in terms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ies on IVF have consistently ranked South Korea as one of the countries with highest average number of embryo transferred. The continuous rise of IVF treatment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the multiple births in the country almost twice over the last 20 years. However, multiple births can be risky to the health of newborn babies. In general, countries, which have established national registries and conducted follow-up surveys on the children conceived via IVF treatments, show substantial decreases in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In South Korea’s case, there are no accurate records or follow-up surveys on babies born via IVF. Though there are clearly many reasons why this situation exists,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ra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xperts. In countries where expert organizations were actively involved in establishing governance for IVF, it was possible to prevent increases in multiple pregnancies and lower the health risk of newborns. This strongly shows that the proper control of these technologies is possible when expert organizations take full responsibility and make active and dedicated efforts to institutionalize the outcomes of their wor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8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2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발행년 2013 

  • 조회 수 18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0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발행년 2016 

  • 조회 수 19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발행년 2006 

  • 조회 수 19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94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6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발행년 2019 

  • 조회 수 19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발행년 1991 

  • 조회 수 19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발행년 2009 

  • 조회 수 199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발행년 1997 

  • 조회 수 19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0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발행년 2002 

  • 조회 수 200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203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발행년 1994 

  • 조회 수 207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발행년 2015 

  • 조회 수 210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1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215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발행년 2019 

  • 조회 수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