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5491426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A Propose of Legislative Bill on Surrogate Mother Agreements Acts

                                

  • 저자명

    윤혜란                                                             

  • 학술지명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6 No.- [2006]                                                          

  • 발행처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5-366(4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6년

초록 (Abstract)

  • 현대사회는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공수정에 의하여 선천적 이유에서나, 후천적인 이유에 의하여 부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불임의 원인이 있으면 불가능 하였던 임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 현대사회는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공수정에 의하여 선천적 이유에서나, 후천적인 이유에 의하여 부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불임의 원인이 있으면 불가능 하였던 임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능력 있는 미혼의 여성이나, 남편을 잃은 미망인 등 일반적으로 임신 할 수 없는 사람들도 아이를 원한다면 임신이 가능하여 출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인공수정의 방법 중 대리모에 의한 경우 각 나라들은 인간의 존엄과 사회질서를 파괴시킬 수 있다고 하여 불법으로 간주하고 엄격히 금해 왔지만, 불임 부부 등의 증가와 변화하는 가족관계 등의 영향으로 각 나라들은 사회적·윤리적·종교적 실정을 고려하여 법률로 규정 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대리모에 관하여 명문의 규정도 없으며 민법 제103조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함을 이유로 대리모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리모 문제는 가족의 형태가 점차 혈연주의를 탈피하고 새로운 가족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혈연주의를 유지시키기 위한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는 비판이 될 수 있겠다. 하지만, 대리모를 부정한다는 것은 혈연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를 얻기 위한 종족보존의 욕망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불법행위를 조장하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가 불임부부들에게 대리모를 찾는 것을 민법 제103조 등에 의하여 무효로 보아 금지할 것이 아니라 대리모와 의뢰부부, 이미 출생한 자, 현재도 출생하고 있는 자, 출생을 앞둔 자들의 법률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Ⅱ. 대리모계약의 개념
    • Ⅲ. 각국의 대리모 계약의 입법례
    • Ⅳ. 한국의 대리모계약의 효력
    • Ⅴ. 대리모계약에서 발생하는 법률문제
    • Ⅵ. 결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발행년 2006 

    • 조회 수 149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진단술에 대한 생명형법적 고찰 / 신동일

    발행년 2006 

    • 조회 수 5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존엄 : 생식체계(Reproduction System)에 관한 미국의 입법과 판례를 중심으로 / 박선용

    발행년 2006 

    • 조회 수 190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발행년 2005 

    • 조회 수 270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발행년 2005 

    • 조회 수 217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 : 배아복제(embryo cloning)를 중심으로 / 한병기

    발행년 2005 

    • 조회 수 51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2005. 1. 1.)을 중심으로 / 김진희

    발행년 2005 

    • 조회 수 11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발행년 2005 

    • 조회 수 1155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발행년 2005 

    • 조회 수 21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발행년 2005 

    • 조회 수 440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발행년 2005 

    • 조회 수 16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고찰 / 김은진

    발행년 2005 

    • 조회 수 836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발행년 2005 

    • 조회 수 24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발행년 2005 

    • 조회 수 37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발행년 2005 

    • 조회 수 161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발행년 2005 

    • 조회 수 85

    14 재생산 기술 윤리적ㆍ불교적 입장에서 살펴 본 잉여냉동배아의 이용 / 곽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901

    14 재생산 기술 잉여냉동배아의 이용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불교적 입장 / 곽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2626

    14 재생산 기술 연속합성배양액들의 개발과 시험관아기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윤산현

    발행년 2005 

    • 조회 수 121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 과정과 여성의 재생산권(reproductive rights)에 관한 연구 / 조영미

    발행년 2004 

    • 조회 수 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