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6742 
임신ㆍ출산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

                              

  • 기타서명

    Women’s rights of self-determination on pregnancy and delivery

  • 저자

    김채윤                                       

  • 형태사항

    viii, 305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용화
    참고문헌: p. 275-3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법학전공 2017.2

  • DDC

    34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인간은 임신·출산을 통하여 종(種)의 영속을 유지한다. 여성의 임신·출산 경험은 생물학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특수한 경험이자 개인의 인권으로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성의 임신·출�...
  • 인간은 임신·출산을 통하여 종(種)의 영속을 유지한다. 여성의 임신·출산 경험은 생물학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특수한 경험이자 개인의 인권으로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성의 임신·출산은 종의 영속과 같은 공익을 위하여 제한되거나 의무화됨으로써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가정 내에 한정시켜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가문을 위한 여성의 임신·출산 의무를 부여하고, 임신은 출산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도덕적 당위성 등이 강하게 나타난다. 임신·출산은 여성의 생물학적 특성에 의한 경험으로, 이는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국가가 공익을 위하여 임신·출산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을 배제한 채 도덕적 의무와 사회적 책임만을 부여한다면, 이는 성(性)에 근거한 차별이며 정당화 될 수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임신·출산은 주체인 여성이 아닌 국가 또는 제3자에 의하여 통제되어왔고, 이는 여성의 성역할 고정 및 이에 근거한 차별 문제를 유지해왔다. 임신·출산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 회복 노력은 국제협약 등을 통하여 재생산권 개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생산자기결정권과 재생산건강권 및 임신·출산과 관련된 다양한 권리들을 내용으로 하는 재생산권은 그 개념의 용어적·내용적 한계 등으로 인하여 임신·출산과 관련된 입법정책 속에서 구체적인 권리 보호 및 적용에 충분히 수용되지 못했다. 여성인권이자 기본권으로서 임신·출산권이란,「헌법」제10조 자기결정권의 하나로 보장되어야 한다.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에 여성만이 경험하는 임신·출산에 대한 결정권까지 그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임신·출산권은 피임권, 임신권, 임신중단권(낙태권), 출산권 등 적극적·소극적인 권리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이러한 임신·출산권의 의의는, 기존 종의 영속이나 인구문제에 집중되어 있던 임신·출산 관련 입법정책의 중심을 그 주체인 여성에게 집중시키는 것이다. 여성 인권으로서 임신·출산권을 보장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성평등 실현을 도모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임신·출산 관련 입법정책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 회복 및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을 통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관련법 제·개정을 통하여 임신·출산권의 법적 근거를 공고히 해야 한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여성의 임신·출산에 대한 인식 전환과 더불어 이에 근거한 차별 금지 및 노동영역에서의 임신·출산권 보장을 강화한다. 다음으로 임신·출산권 중 이제까지 논의가 미비했던 피임권, 임신권 지원 정책 강화를 통하여 넓게는 여성의 임신·출산 건강을 보호한다. 그리고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임신중단권과 관련하여, 임신 기간에 따라 임신중단 합법화 및 허용사유별 제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여성의 임신중단권 보장과 태아 보호를 합리적으로 절충한다. 또한 저출산과 관련하여 난임 지원 등 임신권 관련 지원정책을 마련함으로써 개인의 기본권 보장을 도모한다. 다음으로 궁극적인 임신·출산권 보장을 위하여 피임권 강화 및 양육에 대한 공적 부조를 강화함으로써 근본적인 임신중단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입법 정책적 개선을 위해서는 임신·출산 과정의 유기성 및 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적 시각에서의 접근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여성의 임신·출산은 여성 고유의 생물학적 특성에 기인한 경험이자 여성 자아의 일부로써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여성의 임신·출산이 여성에 대한 차별의 근거가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근본적 차이이며, 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사회적 수용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인 성평등 실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임신·출산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하여 임신·출산권의 법적 수용 근거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합리적인 임신·출산 입법정책을 구현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연구 내용 = 3
  • 제3절 연구 방법과 범위 = 7
  • 1. 연구 방법 = 7
  • 2. 연구 범위 = 8
  • 제2장 임신·출산 현황과 관련 기존 논의 = 9
  • 제1절 서언 = 9
  • 제2절 현황 = 10
  • 1. 피임 현황 = 10
  • 2. 임신 현황 = 15
  • 3. 임신중단 현황 = 17
  • 4. 출산 현황 = 22
  • 제3절 재생산권 = 24
  • 1. 정의 = 25
  • 2. 주체 = 28
  • 3. 내용 = 31
  • 1) 재생산건강권 = 33
  • 2) 재생산결정권 = 35
  • 4. 한계 = 42
  • 제4절 소결 = 44
  • 제3장 자기결정권으로서의 임신·출산권 = 46
  • 제1절 서언 = 46
  • 제2절 자기결정권 = 47
  • 1. 등장배경 = 47
  • 2. 자기결정권의 내용 = 49
  • 1) 정의 = 49
  • 2) 범위 = 50
  • 3) 주체 = 53
  • 4) 헌법적 근거 = 54
  • 3. 한계 = 61
  • 1) 내재적 한계 = 61
  • 2) 법률유보 = 62
  • 4. 외국의 입법례 = 64
  • 1) 미국 = 64
  • 2) 독일 = 66
  • 3) 일본 = 68
  • 제3절 성적 자기결정권 = 69
  • 1. 개념 = 70
  • 2. 내용 = 71
  • 3. 한계 = 73
  • 제4절 임신·출산권 = 76
  • 1. 의미 = 76
  • 2. 내용 = 78
  • 1) 임신하지 않을 권리 : 피임권 = 78
  • 2) 임신할 권리 = 83
  • 3) 출산할 권리 : 출산권 = 88
  • 4) 출산하지 않을 권리 : 임신중단권 = 92
  • 제4장 임신·출산 권과 관련된 문제들 = 137
  • 제1절 서언 = 137
  • 제2절 임신·출산 관련법 = 139
  • 1. 국제협약 = 140
  • 1) 여성차별철폐협약 = 140
  • 2) 장애인권리협약 = 143
  • 2.「헌법」 = 145
  • 1) 대상 = 146
  • 2) 내용 = 147
  • 3) 한계 = 148
  • 3.「형법」과「모자보건법」 = 150
  • 4.「근로기준법」과「남녀고용평등법」 = 156
  • 5.「장애인차별금지법」 = 159
  • 6. 기본법 = 160
  • 1)「양성평등기본법」 = 160
  • 2)「건강가정기본법」 = 161
  • 3)「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 162
  • 제3절 임신·출산권의 입법적 한계 = 164
  • 1. ‘모성의 보호’ 한계 = 164
  • 2. 임신중단의 한계 = 165
  • 1)「형법」제27장 낙태의 죄 = 166
  • 2)「모자보건법」제14조 = 177
  • 3.「근로기준법」제65조 = 192
  • 제4절 임신·출산권의 정책적 문제 = 194
  • 1. 소극적 피임정책 = 194
  • 2. 성(피임) 교육 정책 = 197
  • 3. 난임 지원정책 = 199
  • 제5절 소결 = 202
  • 제5장 임신·출산권 보장을 위한 입법적·정책적 대안 = 204
  • 제1절 서언 = 204
  • 제2절 입법적 대안 = 205
  • 1.「헌법」개정 = 205
  • 2.「형법」제27장의 제·개정 = 207
  • 1) 용어의 재정립 = 207
  • 2) 낙태의 죄 개정 = 209
  • 3) 개정안 = 211
  • 3.「모자보건법」제14조의 개정 = 215
  • 1) 배우자 동의 규정 삭제 = 215
  • 2) 의료인(기관)의 책임 강화 = 217
  • 3) 기한규제방식의 변경 = 226
  • 4) 임신중단 허용 사유의 제·개정 = 228
  • 5) 개정안 = 242
  • 4.「근로기준법」제65조 개정 = 245
  • 제3절 정책적 대안 = 249
  • 1. 피임정책 = 249
  • 2. 성(피임) 교육 시스템 개선 = 252
  • 3. 난임 지원 = 255
  • 4. 임신·출산 지원 정책 확대 = 259
  • 1) 지역단위 관리 시스템 구축 = 259
  • 2) 익명성 보장 = 261
  • 5. 공보육제도 지원 = 262
  • 제4절 소결 = 265
  • 제6장 결어 = 2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66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3
6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3
64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2
6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10
62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5
61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4
60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3
59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3
58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
57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2
56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2
55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101
54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101
5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100
5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9
51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9
5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9
4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8
48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7
47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