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An Ethical Response Model for Genome Editing Technology - Focusing on 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 저자명 : 목광수(Kwangsu Mok)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8 No.2 [2017]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0(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유전자 편집기술 ,리스크 ,불확실성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 ,전임상과 임상 연구 ,유전자 가위 ,genome editing technology ,risk ,uncertainty,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preclinical research and clinical trial ,programmable nuclease (or gene scissors)


  • 초록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있는 과학기술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학계의 입장은 적극적인 수용론부터 신중론, 그리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과 달리, 사회적으로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가져올 유전질환 치료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적극적으로 이 기술을 수용하자는 분위기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의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기술과 관련된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거쳐 의학적 사용이 현실화 되었을 때 나타날 경제적 효과와 치료의 희망으로 인해, 이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적 검토,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한 전임상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논의가 외면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적정한 개념 이해에 근거한 것인지, 유전자 편집기술은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인지, 그리고 유전자 편집기술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하며(Ⅱ.1절), 둘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임상 단계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고(Ⅱ.2절), 셋째, 유전자 편집기술이 발전 과정에서 초래할 리스크는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되어야 한다(Ⅲ절)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나친 낙관이나 과도한 기대보다는 기술적 진보에 대해 냉철한 평가를 해야 하며,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윤리적 연구 과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성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유전자 편집기술의 의미에 대한 분석
Ⅲ.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통한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Ⅳ. 나오는 글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9
88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5
87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4
86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46
85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84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83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114
82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6
81 15 유전학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관한 WIPO에서의 논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 곽충목 2017  98
80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7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
78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토론문 / 신현호 2017  55
77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
76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2017  54
75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74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2017  91
73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8
72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7
70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