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經營法律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24096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Legal Issues on Genetically Modified Rice Commercialization


  • 저자[authors] : 김은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經營法律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7No.2[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경영법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681-709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초록[abstracts]

[그동안 GMO는 안전성에 관한 우려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직접 생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입GMO를 사용하는 가공식품 등에서 문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2015년 9월 농촌진흥청이 GM벼 상용화 계획을 발표하면서 GMO에 대한 우려는 국내에서도 직접적인 문제가 되었다. 더욱이 지난 7월에는 산업용이라는 명분하에 화장품용 GM작물의 생산이 승인되었다. 아직까지 상품화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상업적 생산이 승인된 만큼 곧 상품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많은 시민사회단체가 전국적인 조직까지 만들면서 GMO의 상용화를 반대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논란은 이번 발표가 다음의 몇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첫째, GMO 작물이 국민의 주곡인 벼이기 때문이다. 둘째, 상용화발표에 따른 GMO가 2세대로 일컬어지는 기능성이기 때문이다. 셋째, 재배용이 아니라 산업용이라는 이유로 안전성관리를 위한 절차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국민의 주곡은 섭취량이 많은 만큼 달리 취급해야 한다. 예컨대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서 정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고려는 이런 점에서 단순히 ‘고려’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인 심사항목이 되어야 한다. 이는 앞으로 벼뿐만 아니라 밀 등의 주곡에서는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기농성 GMO에 적합한 안전성평가방식도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안전성평가는 1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농약과 관련한 것이었다. 그러나 기능성은 농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효능에 초점을 맞춘 것이기 때문에 그에 적합한 안전성평가방식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업용을 재배용과 구분하여 안전성관리를 하는 것 역시 개선되어야 한다. 이미 실험과정에서도 얼마든지 유출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이상 산업용이 노지 재배용이 아니라는 이유로 노지재배에 필요한 절차가 생략되어서는 안된다.  GMO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관리이다. 기존의 안전성관리제도로는 현재 상용화의 대상이 된 GM벼, 즉, 기능성이며, 주곡이며, 또한 직접 생산용인 GM작물을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에 맞는 안전성관리제도가 전제되어야 한다. 안전에 관한 확신이 없는 과학기술과 그 결과물에 대한 관리는 아무리 철저히 해도 장기간의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GM벼 역시 그에 관한 관리제도가 선행될 때까지 상용화를 중단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에서 T 림프구 키메라현상의 검출을 위한 자체검사의 확립 / 이미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3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 구축을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연구/오선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194

15 유전학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박정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6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9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9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발행년 2009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일깨운 나고야의정서/박원석

발행년 2012 

  • 조회 수 201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02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03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5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발행년 2018 

  • 조회 수 205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발행년 2016 

  • 조회 수 208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8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9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210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1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발행년 2001 

  • 조회 수 214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발행년 2011 

  • 조회 수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