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118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관련 해외 규제 현황 및 국내 생명윤리법의 향후 과제 

= A study on reform of domestic law related to human embryo genome editing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related foreign regulation -

  • 저자[authors] 류화신(Ryoo, Hwa-Shin),이민규(Lee, Min-Kyu)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9-5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간배아,유전자편집,CRISPR-Cas9,유전자치료 규제,생명윤리법,Human embryo,Genome editing,CRISPR-Cas9,Regulation of gene therapy,Bioethics Law

초록[abstracts] 
[유전자편집은 유전체에서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일부 DNA를 삽입, 제거, 수정하는 기술이며, 오늘날에는 CRISPR-Cas9이라는 유전자가위가 개발되면서 정확성과 신속성,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유전자편집은 인간의 질병 예방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배아의 유전자를 변형하는 것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상당한 윤리적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윤리적 과제에 대하여 외국에서는 어떻게 인간배아 유전자편집을 규제하고 있는지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종국적으로는 이를 통하여 국내 생명윤리법 관련 규정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있다.

Genome editing (also called gene editing) is a group of technologies that give scientists the ability to change an organism"s DNA. These technologies allow genetic material to be added, removed, or altered at particular locations in the genome. Several approaches to genome editing have been developed. A recent one is known as CRISPR-Cas9, which is short for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and CRISPR-associated protein 9. The CRISPR-Cas9 system has generated a lot of excitemen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because it is faster, cheaper, more accurate, and more efficient than other existing genome editing methods. Genome editing is of great interest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s. Currently, most research on genome editing is done to understand diseases using cells and animal models. Scientists are still working to determine whether this approach is safe and effective for use in people. It is being explored in research on a wide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single-gene disorders such as cystic fibrosis, hemophilia, and sickle cell disease. It also holds promis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ore complex diseases, such as cancer, heart disease, mental illnes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Ethical concerns arise when genome editing, using technologies such as CRISPR-Cas9, is used to alter human genomes. Changes made in the genes of an embryo could be passed to future generations. Embryo genome editing bring up a number of ethical challenges, including whether it would be permissible to use this technology to enhance normal human traits.    This study examines the ethical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human embryo genome editing, the contents of the related foreign legislations, and the reform of domestic law.]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유전자편집기술의 특징과 한계  Ⅲ. 인간배아 유전자편집과 관련한 해외 규제 현황  Ⅳ. 인간배아 대상 유전자편집 관련 국내 생명윤리법의 개선방향  Ⅴ. 나오며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69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168 15 유전학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연구 동향 / 정주원, 오선경, 최영민 2014  239
167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2015  239
166 15 유전학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김은진 2017  239
165 15 유전학 정치철학자 샌델의 유전공학윤리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나서/강명신 2011  241
164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163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4
162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161 15 유전학 유전질환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에 대한 고찰 / 이우진 2016  245
160 15 유전학 한국에서의 유전성 대사 질환에 대한 탄뎀 매스 검사의 경제성 분석 / 류형옥 2007  249
159 15 유전학 유전자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범죄수사를 위한 유전자채취와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임석원 2014  249
158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50
157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유전자 윤리/홍정화 2010  251
156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155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15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상 발생 가능한 분쟁의 해결 및 대응방안 - WTO 분쟁해결절차에 제소 가능한 분쟁을 중심으로 -/손지영 2014  257
» 15 유전학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관련 해외 규제 현황 및 국내 생명윤리법의 향후 과제 / 류화신 외 2017  258
152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9
151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기능 검사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기법/이동희 2015  259
150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