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73495 
인간배아 및 인간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정당성 논쟁

  • 저자[authors] 정창록,이정화,허유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사상·문화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018]
  • 발행처[publisher]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0-29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명윤리, 유전의학윤리, 도덕적 정당성, 인간게놈편집, 유전자교정, 인간배아, Biomedical Ethics, Genetic Medical Ethics, Moral Legitimacy, Human Genome Editing, Human Embryos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윤리적 정당성 논쟁을 정리하고, 과연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이 무엇일지에 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쟁점이 되었던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 논쟁을 정리하고, 인간생식세포에 유전자 교정 기술을 적용과 후속 세대의 자율성 침해를 둘러 싼 찬반 입장의 쟁점을 살펴본다.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을 고찰한다.  , This paper summarizes the ethical justification debates surrounding the application of gene scissors technology to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and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s for the social publicization of gene correction technology for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in Korea.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controversy over the moral status of human embryos, which has been an issue in the study of existing human embryos. Next, this paper summarized the point that the application of gene scissors to human germ cells can infringe the autonomy of subsequent generations. Lastly this paper shows how the requirements for the social publicization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for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in Korea develop.]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서론   2.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의 윤리적 정당성 논쟁   3. 첨단기술로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위험을 둘러싼 논의들   4.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교정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8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28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발행년 2013 

  • 조회 수 431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432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발행년 2016 

  • 조회 수 437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3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42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발행년 2005 

  • 조회 수 445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453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발행년 2015 

  • 조회 수 460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발행년 2007 

  • 조회 수 477

15 유전학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김형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8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8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발행년 2012 

  • 조회 수 491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발행년 2017 

  • 조회 수 495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발행년 2002 

  • 조회 수 497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발행년 2007 

  • 조회 수 498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발행년 2006 

  • 조회 수 50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발행년 2016 

  • 조회 수 501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발행년 2014 

  • 조회 수 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