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73495 
인간배아 및 인간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정당성 논쟁

  • 저자[authors] 정창록,이정화,허유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사상·문화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018]
  • 발행처[publisher]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0-29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명윤리, 유전의학윤리, 도덕적 정당성, 인간게놈편집, 유전자교정, 인간배아, Biomedical Ethics, Genetic Medical Ethics, Moral Legitimacy, Human Genome Editing, Human Embryos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윤리적 정당성 논쟁을 정리하고, 과연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이 무엇일지에 관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쟁점이 되었던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 논쟁을 정리하고, 인간생식세포에 유전자 교정 기술을 적용과 후속 세대의 자율성 침해를 둘러 싼 찬반 입장의 쟁점을 살펴본다.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을 고찰한다.  , This paper summarizes the ethical justification debates surrounding the application of gene scissors technology to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and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s for the social publicization of gene correction technology for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in Korea.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controversy over the moral status of human embryos, which has been an issue in the study of existing human embryos. Next, this paper summarized the point that the application of gene scissors to human germ cells can infringe the autonomy of subsequent generations. Lastly this paper shows how the requirements for the social publicization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for human germ cells and human embryos in Korea develop.]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서론   2.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에 대한 유전자 교정의 윤리적 정당성 논쟁   3. 첨단기술로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위험을 둘러싼 논의들   4. 한국에서 인간생식세포와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교정기술의 사회적 공론화를 위한 요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6
48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동물을 활용한 연구 / 구옥재 2018  310
47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1
46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45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41
44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7
43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5
» 15 유전학 인간배아 및 인간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정당성 논쟁 / 정창록 외 2018  99
41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강화 방안 / 정영철 2018  120
40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39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38 15 유전학 An Ethical Analysis of the SUPPORT Trial: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a Pragmatic Comparative Effectivenes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Austin R.,Weijer 2018  55
37 15 유전학 Ethical Guidelines for Genetic Research on Alcohol Addiction and Its Applications / Chapman 2018  45
3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35 15 유전학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김형래 2018  478
34 15 유전학 개인유전자정보를 통한 질병예측인덱스 설계와 개인맞춤형 건강 시스템 개발 / 서영우 2018  151
33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32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31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30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