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15 유전학 조회 수 321 추천 수 0 2018.11.07 11:50:3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547974 
유전자 편집의 윤리 

= A Study on the ethics of genome editing

  • 저자[authors] 김상득(Kim Sangdeu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크리스퍼 카스9,유전자 편집,유전자 성형,정의,맞춤 아기,CRISPR-Cas9,Genome editing,Genetic Molding,Justice,Designer’s Baby

초록[abstracts] 
[유전자 가위 기술의 발달로 이제 우리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힘을 얻게 되었다. 이로 인해 유전적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자질 강화는 물론이고 자녀의 유전자마저 결정할 수 있다. 바야흐로 인간은 자연 진화의 주인 자리에 올라 진정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 하지만 유전 정보 및 유전자 편집의 힘은 윤리적,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생물 안정성이라는 기술상의 위험 요소는 물론이거나 이중 사용의 딜레마로 인한 바이오 테러 등의 생물 보안도 큰 사회적 이슈이다. 이러한 위험보다 더 심각한 것은 윤리물음이다. 동식물 대상의 유전자 편집은 동물권 물음을 야기하고, 인간 대상 유전자 편집은 치료를 넘어 자질 강화를 낳는 유전자 성형의 경우 정의와 연관하여 접근 기회의 공평성, 결과의 평등, 절차적 공정성 등의 윤리 원칙을 요구한다. 특히 맞춤아기의 경우처럼 다음 세대에 유전되는 생식세포 유전자 편집은 부모에 의한 자녀의 유전자 선택으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을 것이다. 윤리적 유전자 편집을 위한 민주적 숙의 과정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quire into the ethics of genome editing through CRISPR-Cas9. CRISPR-Cas9 will make human beings the subject of evolution. And it gives us the power to control the genome of biological systems including human beings. We expects it to offer many benefits such as gene therapy. However, we should solve with various kinds of ethical issues implied in genome editing. First of all, we have to be careful to biosafety and biosecurity in advance. In addition, I study on ethical issues critically in modifying or editing human genome. It deepens social inequality and devalues the value of human endeavor to edit human genome for the purpose of genetic enhancement above gene therapy. In particular, germ cell genetic editing will enable us to determine the genome of our children. Designer’s baby will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undamentally. That is, children is not gifts but commodities. Do parents have the right to determine their children’s gene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I. 들어가는 말: 앎, 힘 그리고 윤리  II. ‘gene editing’, 편집이냐 교정이냐?  III. 생물안전성과 이중 사용의 딜레마 물음  IV. 유전자 편집의 윤리 지형도  V. 인간 대상 유전자 편집: 유전자 성형의 윤리  VI. 생식세포 유전자 편집: 맞춤아기의 윤리  VII. 맺는 말: 정의로운 유전자 편집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장기 체외 증식이 인간 다분화능 신경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및 종양형성능에 미치는 영향들 / 연제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2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6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7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1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5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5

15 유전학 개인 유전체 기반 맞춤 의료 현황과 발전과제 / 정기철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6

15 유전학 동물게놈 연구현황 및 산업적 활용방향 / 조병욱

발행년 2001 

  • 조회 수 136

15 유전학 유전성대사질환의 유전자치료 전략 및 현황 / 정성철

발행년 2011 

  • 조회 수 136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오선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7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7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발행년 1992 

  • 조회 수 139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발행년 2007 

  • 조회 수 139

15 유전학 유전자 맞춤의학(Personalized Genomic Medicine)의 사회적 함의 / 김상현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9

15 유전학 EU법상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및 시사점/김두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2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2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2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발행년 2004 

  • 조회 수 142

15 유전학 CRISPR/CAS system을 이용한 돼지 단위발생 배아에서 Oct-4 유전자의 삭제와 삽입 / 권정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