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886209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asuistry as Educating Method of Biomedical Ethics


  • 저자[authors] 박인숙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178 p. : 삽화.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권복규
  • 참고문헌: p. 168-17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2018. 8. 졸업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실제적인 생명의료윤리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결의론의 성격을 규명하고,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의 가치를 알리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오랫동안 의료윤리의 이론과 방법을 지배했던 작업은 의료현장의 복잡한 도덕 문제에 대해서 ‘타당’하거나 ‘부당’하다는 어떤 절대적인 한 가지의 결론에 도달할 것을 요구하였다. 쟁점이 되는 도덕 문제가 요구하는 것은 권위 있는 도덕 규칙이며, 우리는 이른바 자명한 규칙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내려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생명의료윤리 문제는 그와 관련하여 어떠한 도덕적 확실성도 주장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그리고 생명의료에서 이러한 도덕 문제는 언제나 사례로 주어진다. 이러한 사례를 이해할 때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가능한 한 사례를 맥락과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결의론은 실천적 추론과 사례가 놓인 구체적 맥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지만, 사례 정향적 성격으로 인해 때로는 기준이 없는 맥락주의로 치부되거나, 개연적이고 잠정적인 결론을 인정한다는 이유로 결론이 없는 의견들의 집합이라고 오인 받아왔다. 이 논문은 결의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윤리학과 수사학에 이론적으로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선험적으로 주어진 원리는 아니지만 대다수의 사람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일반적 규칙(격률)의 정당성에 의존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결의론의 추론은 수사추론에 기반하며 수사추론은 목적이 되는 대상을 진리와의 관계뿐 아니라, 그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황과 관련하여 작동하는 실천적이고 개연적인 추론임을 강조한다. 개연론을 활용하여 의료인들은 사례의 구체적인 상황에 더욱 민감하게 되며, 윤리적 행위에 있어 자유로운 선택의 영역을 제고하고, 개개인의 환자 또는 연구대상자에게 적합한 윤리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덕 방법론은 도덕 문제의 합당한 해결을 목표로 삼는다. 따라서 그 방법은 이론적인 차원에서 합당해야 할 뿐 아니라 실천적으로도 적용 가능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데비 사례를 중심으로 결의론의 사례 적용 방법을 검토하며, 결의론을 체계화시킨 존슨의 방법에 따라 형태학, 분류학, 동력학의 세 영역에서 사례를 분석 ․ 비교 ․ 분류하며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의료 및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능력의 배양’이라는 생명의료윤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결의론적 방법이 유용함을 주장한다. 여기서 문제해결능력은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식, 문제분석능력, 추론능력 및 의사결정능력 등의 인지적 활동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정서적 ․ 행동적 요소가 함께 포함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각자의 사연들을 가득 담고 있는 특수한 사례 구성 요소들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여 풍부하게 해석하는 결의론의 추론 과정은 본질적으로 교육의 목적에 충실한 것이다.



초록[abstracts] This dissertation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casuistry as a method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and the value of casuistry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biomedical ethics education. For a long time the process to seek for the principle which governs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cal ethics forced to reach one absolute decision which is ‘valid’ or ‘invalid’ for complex ethical problems in the medical field. The ethical problem on issue requires moral rules with authority, and we have been made ethical decisions under so called obvious rules. However for current biomedical ethics problems are very difficult to claim any ethical certainty related to them. And in biomedical ethics, these kinds of moral problems are given as cases. The most important first step to understand these cases is to try to understand the cases as detailed as possible with specific contexts or circumstances.
 Although casuistry reminded the importance of detailed context or circumstances on where practical reasoning and cases are based, it was misunderstood as an agregation of the opinions without conclusions because of its case-directive characteristics, or it was sometimes considered as a contextualism without standards because it admits the probabilistic and tentative conclusions. This dissertation determines that casuistry has deep roots on the practical ethics and rhetoric of Aristotle theoretically, and depends on the justices of general rules (axioms) accepted by most people even though it is not the principle given by transcendental. Also the reasoning of casuistry is based on rhetoric reasoning and rhetoric reasoning emphasizes that it is practical and probabilistic reasoning operates the targeted objects by not only the relationship with truth but also relating the circumstances on which the acts are performed. The health care providers can become more sensitive to the detailed circumstances of the cases using probabilism, can enhance the area of autonomous choice on the moral act, and can perform proper ethical acts to individual patient or research objects.
 Ethical methodology intends to resolute the proper solution of moral problems. Therefore the method should be not only proper at the theoretical level but also applicable practically.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 the application of casuistry to cases focusing on Debby’s case, and shows the process of moral judgements and decision-making by analysis,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the cases by the three areas of morphology, taxonomy, and dynamics as Jonsen did, who systemized the casuistry.
 In this dissertation, I insist that the casuistic methodology is useful to achieve the goal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which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resolve the ethical problems encountered commonly in the medical and clinical situations. Here, problem-solving ability is not limited to the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the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ability to analyze the problems,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but should be seen as to include the emotional and practical elements. The casuistic reasoning processes. which makes imagination and creation possible by analyzing plentifully from the grasp of the meanings and relations of specific elements of cases which includes the individual stories fully, are faithful to the objects of education essentially

.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B. 연구의 방법 

 C. 논문의 구성 

Ⅱ. 생명의료윤리에서 도덕추론의 방법 

 A. 생명의료윤리의 전통적 도덕추론 

 B. 수사학과 수사추론 

 C. 수사추론과 도덕추론 

Ⅲ. 결의론의 의미와 역사적 전개 

 A. 결의론의 의미와 특성 

 B. 결의론의 역사적 전개 

 C. 현대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부활 

Ⅳ. 생명의료윤리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의 결의론

 A. 존슨과 툴민의 결의론적 문제 해결 방법 

 B. 레이타오의 결의론적 문제 해결 방법 

 C.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의의 

Ⅴ. 생명의료윤리 교육에서 결의론의 활용 

 A. 현대 도덕교육의 흐름

 B.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

 C. 결의론적 교육방법의 의의 

Ⅵ. 결의론적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의 실제

 A. 결의론 수업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계획서 

 B. 형태학적 사례분석방법의 교수-학습 지도안 

 C. 연명의료 중단 문제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안 

 D. 환자의 비밀보장 문제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안 

 E. 신생아 치료중단 결정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안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9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368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367 15 유전학 특집 : 게놈시대의 기독교사회윤리 ; 특별강연 : 게놈시대의 생명윤리 / 이정주 2002  37
366 15 유전학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 이영희 2003  38
365 15 유전학 23andMe: how to make (a lot of) money out of your customers / Jordan, Bertrand 2015  38
36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363 15 유전학 유전체 분석 초기 단계에서 유전자 리스트 작성을 위한 방법론 / 오정수 외 2003  41
362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361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
360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4
359 15 유전학 Ethical Guidelines for Genetic Research on Alcohol Addiction and Its Applications / Chapman 2018  45
358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 표호건 2007  46
357 15 유전학 23andMe signs Parkinson's gene deal with Genentech 2015  46
356 15 유전학 유전자 정보과 그 정보의 공공적 운용 / 박인회 2009  47
355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의 SF적 모티프 / 듀나 2001  47
354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353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352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351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35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