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44162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저자 : 손민
  • 형태사항 : iv, 137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상조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2
  • DDC : 34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생명공학, 특허보호 대상, 특허보호 대상적격, 자연법칙


초록 (Abstract)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은 전 세계적으로 나라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 동물, 식물, 줄기세포, 진단방법과 치료방법과 같은 대표적인 발명 주제에 대해 어떤 나라는 특허를 허여하는가 하면, 다른 나라는 이를 특허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
다른 기술 분야와 달리 생명공학 분야에서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제도가 이처럼 다양한 이유는 이 분야 발명이 인간의 생명 내지 존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보호 대상을 결정할 때 나라마다 독특한 문화, 도덕, 윤리적인 관점이 많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미국은 특허보호 대상적격을 판담함에 있어서 공서양속 내지 윤리성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 반면에 유럽에서는 공서양속이 매우 중요한 결정 기준의 하나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나라는 자연법칙을 특허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생명공학 분야의 발명은 속성 상 자연법칙 자체인지 인간의 창작물인지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발명 대상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발명을 자연법칙에 해당한다고 보는가에 있어서도 나라마다 관점의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미국은 유전자를 자연법칙 내지 자연의 산물이라고 보지만 유럽과 우리나라는 특허 가능한 대상으로 보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명공학 발명의 특허보호 대상이 많이 확대되었고, 생명공학 특허가 사회에 부담하여야 할 책임도 더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제기되는 여러가지 특허법적 이슈를 특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대한 논쟁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현재의 다양한 제도를 만든 다양한 시각을 이해한다면 더 나은 특허제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1
  • 제 1 절 특허보호 대상의 의미 ··········································· 1

    제 2 절 각국의 법체계 ······················································ 3

    제 3 절 생명공학 분야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문제들 ·······14

    제 2 장 유전자 특허 ························································ 19

    제 1 절 유전자 특허의 의미 ············································· 19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22

    제 3 절 Myriad Case ······················································ 24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44

    제 5 절 결 론 ·································································· 48

    제 3 장 동물 특허 ···························································· 51

    제 1 절 동물특허의 의미 ·················································· 51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52

    제 3 절 Dolly Case 외 ····················································· 55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75

    제 5 절 결 론 ·································································· 79

    제 4 장 진단방법 및 치료방법 특허 ··································· 82

    제 1 절 의료방법 특허의 의미 ··········································· 82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83

    제 3 절 Mayo Case ························································· 85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93

    제 5 절 결 론 ································································· 105

    제 5 장 줄기세포 특허 ···················································· 107

    제 1 절 줄기세포 특허의 의미 ········································· 107

    제 2 절 특허보호 대상적격에 관한 주요쟁점들 ·················· 108

    제 3 절 WARF Case ······················································ 110

    제 4 절 비교법적 고찰 ···················································· 124

    제 5 절 결 론 ································································· 125

    제 6 장 결 론 ································································· 127

    참고문헌 ······································································· 130

    Abstract ······································································· 13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9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148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책임복구 추가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법적·제도적 대응방향/최승환 2010  266
    147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2015  269
    146 15 유전학 나고야 의정서의 국제통상법적 접근 : WTO협정의 비차별주의를 중심으로/박경진 2015  270
    145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법을 활용한 오브알부민 생산 유전자를 제거한 유전자 변형 닭 생산 / 한재용, 박태섭 2014  271
    14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43 15 유전학 사람과 동물의 키메라에 대한 윤리적 및 과학적 고찰 / 박재학 2013  274
    142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2015  277
    141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7
    140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8
    139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9
    13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137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4
    136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4
    135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134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90
    133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나고야 추가의정서의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방재호, 문상혁 2013  292
    132 15 유전학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박수연 1999  294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기술기반 효율적 세포 운명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 유준상 2018  294
    130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한 수량화 및 그래프 방법 / 박미라 2002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