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제법평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26578 

제목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 구축을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연구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Nagoya Protocol and ABS-related International Agreements

저자

오선영(Oh Sun Young)

학술지명

국제법평론

권호사항

Vol.40No.-[2014]

발행처

국제법평론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7-96

발행년도

2014

KDC

361

주제어


나고야의정서,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에 대한 국제조약,무역관련 지적재산권협정,식물신품종보호에 관한

국제협약,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접근 및 이익공유,Nagoya Protocol,ITPGRFA,TRIPs,UPOV,

UNCLOS,Access and Benefit-sharing

초록



The Nagoya Protocol aims to develop the legal "Access and Benefit-Sharing(ABS)" framework provided

by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negotiation

of the Nagoya Protocol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tional regime on ABS system in the

Protocol and other ABS- related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instruments. It is because the Protocol

 in principle applies to all types of genetic resources, but also the provisions relevant to ABS exist

in a range of international instruments and processes outside of the CBD. Indeed, cooperation with

other conven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itiatives is vital to the achievement of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therefore,

developing partnerships with relevant organizations to provide assistance to Parties is very imminent.

Such cooperation and engagement also foster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BS system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n order to develop the relationship with other ABS related

international instruments and process, this article analyzes Article 4 of the Protocol which sets

out the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instruments, and then, addresses its

relationship with ITPGRFA, TRIPs, UPOV and UNCLOS Convention. Finally, it provides several

  recommendations to elaborate the coopera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communication

channel each other, to mention its relationship in the national law and regulations, to arrange an

appropriat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to resolve the dispute arising from these instruments,

and to prepare a countermeasure for the disclose requirement.

목차



Ⅰ. 서론
Ⅱ. 나고야의정서 제4조의 의무내용
Ⅲ.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
Ⅳ.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구축을 위한 협력증진방안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9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8
108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8
107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8
106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105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1
104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103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41
102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6
101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50
100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99 15 유전학 자궁 및 태반에서 칼슘이온 수송 유전자의 조절 기전 / 양현 2014  352
98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97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5
96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95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8
94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93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92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1
91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3
90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