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술혁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88031 

제목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

영문명

Evaluation and Challenges of Policy Responses to ABS (Nagoya Protocol) of Korea

저자

홍형득(Heung-deug Hong),임홍탁(Hong-Tak Lim),조은설(Eun Seol Cho)

학술지명

기술혁신학회지(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권호사항

Vol.16No.2[2013]

발행처

한국기술혁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06-52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505

주제어


ABS,나고야의정서,생물다양성,생물유전자원 이용국,생물유전자원 제공국,ABS,Nagoya Protocol,

Biodiversity,Bio-resource User country,Bio-resource Supplier country

초록

2010년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나고야의정서(일명, ABS)가 채택됨으로 인해 각 국가는

 해외 자원의 이용과 국내자원에 대한 보호 측면에 관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ABS이행을 위한 대응정책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관련 부처 및

기관들의 긴밀한 연계체계 구축과 통합적 관리 및 효율적 운영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정부 부처들은 다양한 생물유전자원관리 법률을 가지고 있으나 ABS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용 및 이익 공유에 대한 규정을 모두 갖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법률은 생물유전자원의

 보존, 혹은 그 서식지의 보전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자원이용국’으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제도나

전략에 대해서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과제는 ABS에 대응하여 ‘자원제공국’뿐만 아니라

‘자원이용국’ 입장에서의 부처별 역할 조정 및 통합이 필요하고, 원산지 기재 특허 요건화에 대해서도

법률적으로 입장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초록



Nagoya protocol, alias ABS adopted in UN Convention on Biodiversity in 2010, has prompted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to prepare strategic plans with regards to both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and the use of those with foreign origi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s to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 more integrative and efficient governance system for related

ministries and institutions.

      Our analysis indicates that while most ministries have designated laws specifying various measures

for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such as protected biological species or natural areas,

just a couple of them have instituted measures governing the use of those resources and the

benefit-sharing arising from it. We conclude that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 are more

 focused on the conservation of bio-resources leaving the use of them ill-addressed.
      The study, thus, suggests that measures of ‘bio-resource user country’ be instituted in addition

to those of ‘bio-resource supplier country’. For instance, with regards to the use of bio-resources

the roles and remits of related ministries had better be clarified and coordinated. The uncertainty

over the explicit indication of ‘place of origin’ of bio-resources as a requirement of patent grant need

to be cleared as well.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I. 서론
II. ABS의 내용 및 환경
III. ABS 대응정책 분석
IV. 우리나라 ABS 대응정책 진단평가와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 15 유전학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홍형득, 임홍탁, 조은설 2013  550
328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46
327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4
326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325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324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23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322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321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320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501
319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318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8
317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31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2016  497
315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4
314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13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8
312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2007  477
311 15 유전학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김형래 2018  477
310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2015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