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04105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Human Material Donors’ Right to Research Profits


 
제어번호 101704105
저자명 유호종(You, Ho-jong) 
학술지명 철학사상
권호사항 Vol.58 No.- [2015] 
발행처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9-246(2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오늘날 의학 및 생명공학 연구는 환자 등이 제공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를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그 연구 결과로 발생하는 금전적 이익은 연구자가 모두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이 금전적 이익을 인체유래물등의 제공자에게도 분배해야 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체유래물등의 연구를 혈액, 조직, 장기의 수혈이나 이식의 경우와 비교해서, 인체유래물등의 연구에서만 이익 발생이 정당화되는 이유를 밝혔다. 다음으로 인체유래물등의 제공자도 이 금전적 이익을 분배받아야 한다는 주장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 그런 입장에서 내세울 만한 ‘특허권 공유 논변’과 ‘투자 논변’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특허권 공유 논변의 경우, 현행 특허 제도는 특허권을 발명자가 독점하게 하고 있고 인체유래물등의 연구에 그 예외를 인정받을 만한 이유가 없으므로 설득력이 없다. 투자 논변의 경우는 이 논변이 성립하려면 먼저 인체유래물등의 매매 허용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그런 허용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인체유래물등의 연구에서 발생하는 금전적 이익은 적어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현재처럼 모두 연구자가 갖게 하는 것이 옳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혈액, 조직, 장기의 수혈 또는 이식과의 비교
Ⅲ. 인체유래물등의 연구에서 금전적 이익 발생의 정당성
Ⅳ. 특허권의 공유 가능성
Ⅴ. 인체유래물등의 투자 가능성
Ⅵ. 결론


주제어
인체유래물  ,유전정보  ,특허권  ,인격권  ,재산권  ,인체유래물은행  ,human material  ,genetic information  ,patent-protected profits  ,patent rights  ,personality rights  ,property rights  ,bioban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35

15 유전학 나고야 의정서의 국제통상법적 접근 : WTO협정의 비차별주의를 중심으로/박경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에 관한 영국 이행입법의 법적 검토/김두수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5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발행년 2015 

  • 조회 수 374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9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9

15 유전학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박정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6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6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1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7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8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13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9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351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9

15 유전학 Tomato ringspot virus 검역진단시스템 개발 / 이시원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1

15 유전학 수혈을 받은 변사자에서의 혼합 DNA 프로필 검출사례 / 정주연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89

15 유전학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성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35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발행년 2015 

  • 조회 수 460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