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공주대학교 대학원 : 생물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85549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기타서명 (A) genetic cohort study of GJB1 mutation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X patients
저자 김성민
형태사항 vii, p.44 : 삽도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정기화
              참고문헌 : p.35-42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생물학과 2016. 2
발행국 충청남도
언어 영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공주대학교 도서관 


초록
샤르코-마리-투스병 (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은 19 세기 프랑스의 Jean Martin Charcot와 Pierre Marie 그리고 영국의 Howard Henry Tooth에 의해 기술된 유전성 말초 신경병을 총칭하는 질병 그룹이다. CMT는 대략 1/2,500 명의 발병률로 전 세계적으로 모든 인종에서 나타난다. 유전성 운동감각신경병 (hereditary motor and sensory neuropathy, HMSN) 으로도 불리는 CMT는 진행성 신경근의 약화와 길이 의존적인 말초신경의 퇴화로 사 지 원위부 및 손과 발의 근육 소실과 약화를 나타낸다. CMT의 발병 시기는 유아기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증상 또한 임상적으로 매우 이질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여러 분자의 잠재적인 유전원인에 따라 CMT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졌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유전적 진단법은 매우 중요하게 되었고 개인화 된 치료법이 적용된다. X 연관 우성인 샤르코-마리에-투스 (CMTX) 는 gap junction beta 1 (GJB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주로 발병하는 말초 신경병이다. GJB1 단백질은 이온과 결합된 세포 사이의 작은 영양소들의 빠른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단백질이며, CMTX1의 빈도는 약 20%로 CMT1A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형태이다. CMT는 현재까지 정확한 치료법이 없으나 다양한 약물이나 분자도구를 이용한 임상적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므로 유전적 원인별 맞춤치료를 위해 보다 정확한 유전적 원인 규명이 매우 중요하다. CMT는 유전적 및 임상적으로 매우 이질적인 질병으로 아직 40-50% 이상의 환자에 대해 유전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에 개발된 전체엑솜서열분석법 (whole exome sequencing, WES) 은 유전적으로 이질적인 희귀 멘델성 유전병의 새로운 원인유전자를 규명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가 없는 67의 CMTX 한국인 가계를 대상으로 GJB1 돌연변이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원인 유전자를 밝혀내기 위해 GJB1의 코딩된 엑손 부위를 직접 시퀀싱하거나 전체 엑솜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WES는 총 17 검체에 대해 수행되었는데, 엑솜 데이터는 우선 70개 이상의 CMT 원인 유전자로 알려진 유전자에 대해서 변이를 검색하였으며, Sanger 서열분석 방법으로 변이를 확인하고, 유전적 원인으로서의 확정은 가족 내에서의 cosegregation 검사, 대조군 검사 (n> 200),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검사 (1000genome, dbSNP141), in silico 분석 및 돌연변이 부위의 보존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CMTX 가계에서 총 41개의 원인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유전자형과 표현형을 비교하여 둘의 상관관계가 증상정도에 미치는 영향, 발병연령, 특정 증상 등을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extracellular2 (EC2) 도메인에서 발견되었다 (29%). 추가적인 증상은 High arched foot 이 가장 많았으며, duration이 증가할수록 증세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GJB1 돌연변이는 전체 CMTX 가계에서는 89.6%의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de novo 비율은 9.5%였다. 한국인에서의 CMTX1의 빈도 (9.9%)는 다른 아시아인(5.5 ∼ 8.8%)과는 비슷하거나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유럽인들 (13.0 ∼ 21.3%)에 비해서는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 CMTX1의 코호트 연구는 X-연관 병증의 분자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7

2-1 Patients 7
2-2 Genomic DNA purification and 17p12 duplication/deletion test 8
2-3 Mutational screening of GJB1 10
2-4 Determination of causative mutations and in silico analysis 10
2-4 Clinical assessment 11

Ⅲ. Results 12

3-1 Identification of GJB1 mutations 12
3-2 Clinical manifestations 27
3-3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27
3-4 Clinical spectrum in CMTX1 patients with GJB1 mutations 30

Ⅳ. Discussion 33
V. References 35
국문초록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9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148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책임복구 추가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법적·제도적 대응방향/최승환 2010  266
147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2015  269
146 15 유전학 나고야 의정서의 국제통상법적 접근 : WTO협정의 비차별주의를 중심으로/박경진 2015  270
145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법을 활용한 오브알부민 생산 유전자를 제거한 유전자 변형 닭 생산 / 한재용, 박태섭 2014  271
14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43 15 유전학 사람과 동물의 키메라에 대한 윤리적 및 과학적 고찰 / 박재학 2013  274
142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141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2015  277
140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7
139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8
13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137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36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4
135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134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90
133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나고야 추가의정서의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방재호, 문상혁 2013  292
132 15 유전학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박수연 1999  294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기술기반 효율적 세포 운명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 유준상 2018  294
130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분열 억제제인 mdivi-1의 처리가 돼지 배아 및 체세포에서 배발달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지영 2014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