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5634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제어번호 101735634
저자명 정창록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38 No.- [2015]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1(27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개인별 맞춤의료는 환자중심적인 의학적 선택과 실천과 상품들을 포함하는 미래의학의 모델이 다. 개인별 유전학은 개별 유전자 분석과 연관된 유전학의 한 분야이다.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의료의 어떤 측면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왜 프라이버시가 본질적으로 중요한가? 의료의 초기부터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증가시키는가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 인 프라이버시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발생하는 개인에 대한 이득과 해악에 관한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개인별 맞춤 유전체 치료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 분석을 전제로 한다. 인간유전체 연구를 인간 유전자 정보에 관한 연구로 볼 수도 있다면 현재 인터넷 사회에서 정보 유출과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이듯이 인간유전체 연구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위해 우선 인간유전체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다루어 본다. 이후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을 기술적 차원, 방법론적 차원, 인식론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마 지막으로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세 가지 차원의 유형에 따른 위험관리의 전략을 세워본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
1. 인간 유전체 연구와 한국의 유전체 ELSI 연구
2. 개인 프라이버시(Privacy)
3.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프라이버시 문제가 갖는 특수성
Ⅲ. 인간 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
1. 기술적 차원
2. 방법론적 차원
3. 인식론적 차원
Ⅳ.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에 따른 일반적 위험관리의 전략
1. 기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2. 방법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3. 인식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Ⅴ. 결론


주제어
ELSI  , 인간유전체연구  , 위험  , 개인 프라이버시  , 정보 보호  , bioethics  , biotechnology  , ELSI(ethical  , legal  , and social implications)  , human genome research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유전검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전클리닉의 개설과 운영 / 이용화 외

발행년 2006 

  • 조회 수 178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8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177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 이두갑

발행년 2012 

  • 조회 수 171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발행년 2014 

  • 조회 수 170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발행년 2003 

  • 조회 수 170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70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8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발행년 2014 

  • 조회 수 165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발행년 2002 

  • 조회 수 165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발행년 2000 

  • 조회 수 165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2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5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155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발행년 2008 

  • 조회 수 155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5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발행년 2009 

  • 조회 수 154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54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1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