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001492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The Human Genome Project and Reductionism

                                

  • 저자명

    정상모                                              

  •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권호사항

    Vol.22 No.- [2000]                                                            

  •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 발행처 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9-249(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0년


  • 초록 (Abstract)
    • 일반적으로 환원주의는 서구 근대과학에 특징적인 것으로, 반환원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과학에 특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이래 현대 과학을 주도하고 있는 분자생물...
    • 일반적으로 환원주의는 서구 근대과학에 특징적인 것으로, 반환원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과학에 특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이래 현대 과학을 주도하고 있는 분자생물학은 그 정의상 혹은 발생론적으로 환원주의적이다. 현대 생물학 최대의 연구 기획인 인간게놈프로젝트는 거의 전적으로 분자유전학의 발전에 의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인간게놈프로젝트도 분명히 환원주의적 기획이다. 그러나 '환원주의'란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생물학에 있어서 환원주의 문제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환원주의라는 통상적인 구분법에 따라 접근해 볼 때,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존재론적으로 그리고 방법론적으로 분명히 환원주의적이다. 철학적으로 중요한 것은 그것이 과연 인식론으로 환원주의적인가 하는 물음이다. 인식론적 환원주의는 유전 현상이 궁극적으로 불리-화학적 용어들로 설명될 수 있다든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말한다. 여기서 필자는 물리-화학적 용어들만으로 유전 현상을 충분히 혹은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을 강한 인식론적 환원주의, 비물리-화학적 용어들과 함께 해야 충분히 혹은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을 약한 인식론적 환원주의로 나눈다. 그리고 유전자 개념에 대한 분석과 유전학에 대한 물음론적 분석을 통해서 , 인간게놈프로젝트가 강한 의미의 환원주의가 될 수 없고 단지 약한 의미로 환원주의적이라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그러한 입장이 갖는 함축으로, 인간게놈프로제트에 부여된 부당한 기대들도 지적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들어가는 말
    • 2.인간게놈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3.존재론적 환원주의, 방법론적 환원주의
    • 4.인식론적 환원주의
    • 1) 표준적 환원 모델과 긍정적 사례들
    • 2) 반환원주의 : 유전자 개념들 사이의 이질성
    • 5.분자ㆍ비분자유전학의 상보성: 물음론적 접근
    • 6.인간게놈프로젝트의 실상
    • 7.맺는 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