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産業財産權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8646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 저자명

    표호건                                              

  • 학술지명

    産業財産權               

  • 권호사항

    Vol.22 No.- [2007]                                                        

  • 발행처

    韓國産業財産權法學會                                

  • 발행처 URL

    http://www.kipl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2(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초록 (Abstract)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stern cells are used for and why scientists want to research them as much as they do. Stem cells are unique cells that have the capacity to reproduce themselves for indefinite periods in culture and give rise to sp...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stern cells are used for and why scientists want to research them as much as they do. Stem cells are unique cells that have the capacity to reproduce themselves for indefinite periods in culture and give rise to specialized cells and tissues of the body. These cells are useful because they have the ability to develop into most of the tissues in the human body. They could eventually be used in curing people with life threatening diseases. These discoveries may provide cures for diseases which have yet to be uncovered by current medical research. Although stem cell research raises religious, moral and ethical concerns, it has far reaching potential for beneficial applications government are trying to address and balance these benefits with the concerns of their respective societies through legislation and regulations. The current patent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s fairly favourable to granting patent rights in most areas of stern cell research while Europe has much more restrictive provisions. In contrast, it is interesting to nate that while the United States has taken the roast expansive position with regard to the granting of patents arising from stem cell research, it has taken are of the more restrictive positions with regard to funding of this research. The opposite is true in certa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序論
    • II. 인간배아줄기세포에 대해서
    • 1 . 인간배아줄기세포란 무엇인가
    • 2. 인간배아줄기세포의 弱点
    • 3. 世界各國에 있어서 인간줄기細脫鼎究規制
    • 4. 언제부터 인간이 되는 것인가
    • III. 인간배아줄기細廳昭究에 對한 規制
    • 1 . 美國
    • 2. 유럽
    • 3. 日本
    • IV. 各國特許廳에 있어서 公序良倚의 判斷
    • 1 . 美國特許商標廳(USPTO)
    • 2. 유럽 특허청 (EPO)
    • 3. 우리나라
    • V. 배아줄기세포와 관련되는 특허 심사 사례
    • 1. USPTO: 미국 특허 제 6200806호
    • 2. EPO: 유럽 특허 공개 제 770125호
    • VI. 各國特許廳에 있어서 判斷
    • 1. USPTO 의 判斷
    • 2. EPO 의 判斷
    • 3. UKPO 의 判斷
    • VII. 인간배아의 破壞와 公序良洛違反과의 關f系
    • 1 . 인간배아의 破壞를 둘러싼 公序良洛違反의 문제
    • 2. 우리 나라에서의 배아줄기세포에 對한 公序良洛違反
    • 3. 인간배아의 破壞는 公序良洛에 違反하는 것인가
    • VIII.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9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8
    188 15 유전학 식물유전자원의 ABS체제 -나고야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를 중심으로-/오선영 2014  227
    187 15 유전학 개인맞춤의료 시대에 대비한 보험사에서의 개인 유전자 정보 이용 여부에 대한 고찰 / 장예은 2014  226
    18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185 15 유전학 GMO의 위험에 대한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 / 송호열 2011  223
    184 15 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이미화 외 2017  223
    183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1
    182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9
    181 15 유전학 곤충유전체 연구의 생물정보학적 동향 / 박준형 외 2014  218
    180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4
    179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4
    178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2016  210
    177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10
    176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175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8
    174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8
    173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2010  205
    172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171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170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