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199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Anatomy & Cell Biolog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34385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Human Genomic DNA Isolation and Chromosomal Localization of Fetal Brain cDNA (FB174)

                                 

  • 저자명

    박수연(Soo Yeun Park),강윤희(Yoon-Hee Kang),이희래(Hee Lai Lee),김 현(Hyun Kim),박선화(Sun-Hwa Park)                                             

  • 학술지명

    Anatomy & Cell Biology                           

  • 권호사항

    Vol.32 No.6 [1999]                                                      

  • 발행처

    대한해부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31-836(6쪽)

  • 언어

    -

  • 발행년도

    1999년

  • 초록 (Abstract)
    • 최근 사람 유전체 사업의 진행으로 수많은 유전자들이 발굴되고 다양한 실험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굴한 유전자들 의 기능을 예측하고 염색체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
    • 최근 사람 유전체 사업의 진행으로 수많은 유전자들이 발굴되고 다양한 실험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굴한 유전자들 의 기능을 예측하고 염색체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태아의 뇌 형성이 활발한 시기인 태생기 18주의 뇌로부터 cDNA probe pool을 작성하고, 염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이 중에서 FB174를 선택하여 흰쥐 조직 절편에 대한 in situ hybridization 조직 화학법을 시행하여 그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람 유전체 서고 검색을 시행하여 사람 유전체 DNA를 분리하였고, 이 유전체 DNA를 biotin으로 표지한 후 형광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서열분석과 GenBank 자료분석에서 FB174 클론은 사람염색체 13q14에 위치한다고 알려진 번역 수준에서 조절되는 암 단 백질(TCTP)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FB174 클론의 mRNA를 흰쥐 조직 절편에 in situ hybridization 조직 화학법을 시행한 결과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다. 분리된 FB174 클론의 유전체 DNA로 형광 in situ hybridization 시행한 결과 염색체띠 7q22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FB174 유전자는 기존에 알려진 TCTP 유전자의 서열과 매우 높은 유사성을 고려할 때 그와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