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4878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저자명

    배상수                                            

  • 학술지명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 권호사항

    Vol.2016 No.06 [2016]                                                         

  • 발행처

    한국육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7-327(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유전자가위는 1세대인 ZFN, 2세대인 TALEN을 거쳐 3세대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개발되었는데, 이를 이용하면 인 간, 동물 및 식물 등 매우 다양한 종에서 특정 유전자 녹아웃이나 녹인을 매...
  • 유전자가위는 1세대인 ZFN, 2세대인 TALEN을 거쳐 3세대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개발되었는데, 이를 이용하면 인 간, 동물 및 식물 등 매우 다양한 종에서 특정 유전자 녹아웃이나 녹인을 매우 정교하게 원하는 곳에서만 일으킬 수 있 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단백질 모듈 연결을 통해 타겟 DNA를 인식하는 ZFN, TALEN과는 다르게, 가이드 RNA 서 열에 따라 타겟 DNA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RNA만 바꾸어 줌으로써 Cas9 또는 Cpf1 크리스퍼 단백질이 타겟 DNA 에 작용하여 절단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쉽고 가격 또한 저렴하다. 그래서 기존의 유전자가위들에 비해 매우 폭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DNA를 사용하지 않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플라스미드 대신 정제 단백질과 RNA를 뽑아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를 식물에 적용할 경우, 외부 DNA를 사용하 지 않기 때문에 현재 제도적인 GMO 규제 논란에서 자유로울 가능성이 있다. 본 발표에서는 누구나 쉽게 크리스퍼 유전 자가위를 식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오작동 가능성이 적은 타겟을 선정하는 웹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다재다능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이용하여, 애기장대에서의 유전체 편집과 폐튜니아에서의 유전체 변이 및 미 세조류인 클라미도모나스에서의 형질전환체 유도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2016  839
108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2016  137
107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87
106 15 유전학 유전질환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에 대한 고찰 / 이우진 2016  245
105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8
104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명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 식용 GMO의 동물투여 독성시험 현황과 논란을 중심으로 / 김훈기 2016  116
103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7
102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101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 김소윤 2016  64
100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9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98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9
97 15 유전학 생명윤리법상 유전자검사의 허용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 / 황만성 2016  99
96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400
95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2016  210
94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9
93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2016  66
92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2
91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90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