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01590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Patentability on Human Genome Researches(I) : Gene Segment, Genetic Diagnosis, and Somatic Gene Therapy) 


/ 김소윤 



  • 제어번호 102680074
  • 저자명 김소윤(Kim, So-Yoon), 김수민(Kim, Su-min), 김한나(Kim, Han-nah)
  •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1-166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등재정보 등재
  • 주제어 유전자 단편,유전자 진단,체세포 유전자 치료,특허성,인간 유전체 연구,gene segment,genetic diagnosis,and somatic gene therapy,patentability,human genome research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의 특허와 관련된 국제 동향을 유전자 단편, 유전자 진단,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연구 결과를 고찰해 보는 것이다. 최근 생명공학 특허분야에서 논란이 되었던 것은 유전자 단편에 대한 특허성 인정에 대한 것이다. 이전까지 당연히 인정되었던 유전자 단편의 특허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국을 선두로 그 특허성이 인정되지 않는 추세로 바뀜에 따라 국제적으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우선 유전자 단편, 유전자 진단 및 체세포 유전자 치료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분야별 각 국가의 특허 제도의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 그 분석 결과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별로 인간 유전체 연구의 특허 허여 여부의 기준에 있어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첫째, 유전자 단편의 특허성은 관련 기술의 발전과 미국 연방대법원 등으로 인하여 점차 그 의미가 퇴색될 것으로 보이므로 우리 제도에서도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유전자 진단의 경우, 미국은 의료행위 또한 특허 대상으로 보기 때문에 유전자 진단 방법도 특허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체외 진단기기나 비의료행위의 관점에서 특허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우리 특허 제도에서도 큰 문제가 없다고 본다. 셋째, 체세포 유전자 치료는 모든 연구 대상 국가에서 치료제로 구분하여 기존의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특허대상으로 보고 있다.


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인간 유전체 연구 동향
  • III. 국가별 특허 제도 동향
  • IV. 연구 결과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인간학과 의학 / 김인경

발행년 2004 

  • 조회 수 54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발행년 2017 

  • 조회 수 54

15 유전학 바이오정보 활용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연구 / 최규진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4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토론문 / 신현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5

15 유전학 발현 유전자 분석을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 이병욱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5

15 유전학 An Ethical Analysis of the SUPPORT Trial: Addressing Challenges Posed by a Pragmatic Comparative Effectivenes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Austin R.,Weijer

발행년 2018 

  • 조회 수 55

15 유전학 Regulatory Issues for Clinical Gene Therapy Trials

발행년 2002 

  • 조회 수 56

15 유전학 유전체(Genomics) 연구의 윤리 / 강병수

발행년 2007 

  • 조회 수 56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및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 정성철

발행년 1999 

  • 조회 수 57

15 유전학 Genome Editing of Causative Gene for the Congenital Hearing Loss by CRISPR/Cas9 /류나리

발행년 2017 

  • 조회 수 57

15 유전학 유전체 네트워크의 일반성과 특이성을 반영한 질환-유전자 예측 / 남용현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7

15 유전학 인종과 유전: 게놈 시대에 은폐된 인종의 자리 / 김준년

발행년 2017 

  • 조회 수 62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발행년 2017 

  • 조회 수 63

15 유전학 The challenge of personal genomics in Germany

발행년 2013 

  • 조회 수 64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발행년 2000 

  • 조회 수 6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 김소윤

발행년 2016 

  • 조회 수 6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 오선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64

15 유전학 Animal Biotechnology and the Non-Identity Problem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

15 유전학 맞춤의학 시대의 개인 유전체 서열의 해독과 스마트한 이용 / 김동민

발행년 2013 

  • 조회 수 66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발행년 1996 

  • 조회 수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