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이민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6113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of Refugees in Kore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cy for Refugee Support

  • 저자[authors] 손주희
  • 발행사항 안양 :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231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라휘문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이민정책 2018.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난민,난민신청자,인도적 체류자,난민인정자,사회적응,경제적 적응,사회·문화적 적응,심리적 적응,난민지원정책
  • 소장기관[Holding] 성결대학교 도서관 (241025)
  • UCI식별코드 I804:41025-200000007554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난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난민지원정책의 효율적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난민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본국의 상황으로 공포와 박해를 피해 비자발적으로 입국한 사람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에는 2001년 첫 난민인정을 시작으로 2,200여 명의 난민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 국제적으로 난민신청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2010년 이후 난민신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은 난민문제가 단순히 인권 보호적 접근을 넘어 이민정책 차원에서 다루어야 할 국가적 과제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난민을 한국사회 공동체 일원으로 인식한 사회통합관점의 정책 모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사회에의 적응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난민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적절한 난민 대응책은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정책수혜 집단을 대상으로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난민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은 경제적 적응에만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응과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크는 경제적 적응에, 사회적 차별은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셋째, 난민지원정책은 난민의 개인적, 환경적 요인과 적응과의 관계에 있어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적응 모두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과제를 정리하면 첫째, 난민을 지원함에 있어 인도적 관점에서의 건강권 보장과 난민의 특수성을 배려한 정신적·심리적 건강에 주목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난민의 자조모임 활성화와 정보 공유,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난민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등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체계적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난민정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민간, 지방정부, 중앙정부가 함께 협력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각 지역에 협력기관을 두어 교육, 취업, 상담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난민의 한국사회 적응의 영향요인을 밝혀 정책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사회가 인종이나 체류자격에 있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통합적 접근뿐만 아니라 정책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난민정책의 수립에 있어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난민지원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난민의 처우관련 연구자료 등 다각도로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adaptation of the refugees staying in Korea and to propose effective orientation and policy recommendation on policy for refugee support. A refugee means a person who entered other country involuntarily regardless of one's own will to avoid fear and persecution in their home country. Currently 2,200 refugees are under legal protection in Korea since 2001 when the first refugee was accepted. Considering the rapid international increase of asylum seeker, the refugee problem in Korea where the refugee appli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 is suggested to become a national challenge that must be dealt in the level of immigration policy beyond just the human rights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a policy in the view of social integration that recognizes refuge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this requires the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that preventing the refugees from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because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the refugees are facing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per plan to deal with refuge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adaption of refugees by analyze the effects of demographic,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and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ies for refugee support focusing on policy beneficiary group.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refugee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ing such statistics as assoc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from personal factors has effect only on economic adaptation while the str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ion. Second, the analysis of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social adaptation showed that the network, a subfactor of social capital, has effect on economic adaptation and that social discrimin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ird, the policy for refugee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economic,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rom a humanitarian perspective to protect the health right of refugees in process of supporting them,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support focusing on their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considering their special situ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social integration such as revitalization of refugee self-help groups, sharing of information, and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of refugees by Korean. Third, for the effective support for refugee policy, a system promoting cooperation of civil,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is necessary. Cooperative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each region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such as those for education, employment, and counsel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data which are helpful in determining policy direction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of adaptation of refugees to Korean societ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constituting races and types of foreigner is becoming diverse, it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social integration approach but also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lic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meaningful way in proof source of policy for refugee support reflect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in developing refugee policies and other aspects such as studies on treatment of refugees. Key words:  Refugee, Asylum Seeker, Humanitarian Status Holder,                      Recognized Refugees, Social Adaptation,                      Economic Adaptation, Sociocultural Adapt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Policy for Refugee Suppor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정미라,정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436

18 인체실험 한국 일개대학 기관생명윤리위윈회(IRB)의문제점 및 개선방안/ 주석진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6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0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7

18 인체실험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전주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97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8

18 인체실험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 황정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8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이주민과 난민문제의 안보적 대응에 관한 고찰 / 이만종

발행년 2018 

  • 조회 수 333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505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8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 사전심사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찰 / 고재환

발행년 2018 

  • 조회 수 74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고찰 / 박태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3

18 인체실험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김선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5

18 인체실험 인공 조직 제조를 위한 줄기세포 및 생체재료 기반 바이오프린팅 기술 / 장진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8

18 인체실험 [자료] 일본임상연구법(2017년 법률 제16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1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20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 김민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