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503832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An) investigation into the IRB members' and investigators'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s


  • 저자 : 김지선
  • 형태사항 : vii, 71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오희철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학과 2006.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 주제어 :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임상시험, 인식도, Institutional Review Board, clinical trials, perception



초록 (Abstract)

2005년 황우석 박사 사건을 계기로 국내 보건의료계 및 생명윤리학계는 임상연구 윤리문제와 심사제도의 제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임상시험은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연구의 윤리적인 배려가 우선이고 과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대한 인식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이 연구는 국내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연구대상은 임상시험실시기관 13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연구자들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서 현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위원들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 20일부터 4월 27일까지, 2차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AS 8.1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모든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특정변수를 이용하여 인식 수준을 측정한 후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변수는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연구 대상자는 남자 84명, 여자 84명으로 이들의 연령은 30-39세가 43.4%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의사가 58.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61.3%가 임상시험 경험이 있었고, 28.0%가 2년 이내의 임상시험 경력을 가졌다. 현재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관련 직위로는 기관 내 임상연구자가 대상자의 31.0%로 가장 많았고, 기관 내 전문가위원은 14.9%였다.둘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60.1%가 기관 내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63.1%가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46.7%가 기관 내 또는 기관 외 교육을 모두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연구자 중 대한임상심의기구협의회 주관의 교육을 받은 경우는 31.0%로 나타났다.셋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사위원회의 법적, 윤리적 의무에 관한 문항과 역할과 기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총 15개 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총점 20점으로 변환 측정하여 18점 이상을 인식이 높다고 평가했을 때, 인식 수준은 최저 1점부터 최고 19점까지였고, 대상자의 78.0%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넷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현재 심사위원회 관련 직위(p=0.0003), 교육 경험(p<0.001), 교육 경험 회수(p=0.0006)등이었다. 임상시험 경험 및 경력과 연구책임자 경험은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전체 대상자의 96.5%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향후 교육에 관해 88.7%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 임상시험 실시 증가와 더불어, 임상시험관리기준 및 임상시험심사에 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 및 그 효과가 기대되므로, 심사위원뿐 아니라 임상연구자 전체를 대상으로 세분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국내 임상시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임상시험 심사의 인증 제도의 도입이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국내 임상시험뿐 아니라 다국적 임상시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정부가 지정하는 임상시험 실시기관과 지역임상시험센터 외에도 임상시험전문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이 증가함에 따라, 표준화된 임상시험 심사를 위한 인증제도의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5
7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73 18 인체실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정미라,정은 2019  436
72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7
7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성(vulnerability) 판단 기준 재정립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역할 / 배현아 2011  443
70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69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6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67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6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2014  470
65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운영에 대한 제언 : 국내외 인증기준 상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실질적 방안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473
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2010  483
6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6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6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1
60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5
59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58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57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5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