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2834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Analysis and Suggestion for Operating the Joint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n Korea


  • 저자 : 김대건
  • 형태사항 : 2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2015. 8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공동IRB, 다기관 공동연구, IRB 상호인정제, Western IRB


초록 (Abstract)

KGCP(임상시험관리기준)의 개정, IND제도의 도입, 임상시험 수의 급격한 증가, 다기관 임상시험의 일반화 등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 속에 IRB의 역할과 범위도 함께 성장해왔다. 또한, 2013년 전부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은 인간대상연구 범위의 확대와 더불어 의약품 임상시험의 심의를 주 업무로 하였던 IRB의 업무범위를 인간대상연구 전반에 걸치도록 광범위하게 확대시켰다.
임상시험 수행 건수의 증가 및 다기관 임상시험의 증가에 따라 국내에서는 같은 연구 프로토콜을 심의하는 각 기관 IRB의 중복심사를 개선하고 연구 수행 시간 지연과 이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 및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동 IRB 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었으며, ‘공동 IRB’와 ‘위탁심의’가 KGCP에 포함되었다.
법적인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해외의 공동IRB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공동 IRB 도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국내에 적합하다 판단되었던 공동 IRB의 형태는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드러내게 되었고,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안정적인 운영이 불가할 것이며 자립하여 지속가능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문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 IRB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로서 IRB 상호인정제나 영리기관 IRB를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공동 IRB의 도입 및 개념 4

    1. 공동 IRB의 도입 4

    2. 공동 IRB의 개념 6


  • Ⅲ. 공동 IRB의 유형 8
  • 1. 국가 주도 형태의 공동 IRB 8

    2. 상호인정제 형태의 공동 IRB 9

    2. 사설기관형태(영리법인형태)의 공동 IRB 14


    Ⅳ.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의 방향 18

    1. 식약처의 공동 IRB 형태 18

    2. IRB 상호인정제 모델 20

    3. 영리기관 IRB 모델 21

    4. 독립적 공동 IRB 모색 24


    Ⅴ. 결 론 26

    참고문헌 29

    Abstract 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5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74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73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71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3
    69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68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2
    67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21
    66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20
    6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7
    63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6
    61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60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59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58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57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11
    5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