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92037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임상연구자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 A study of a researcher's views and attitudes concerning human research ethics

            

http://www.riss.kr/link?id=T12292037          

  • 저자

    손순영                                       

  • 형태사항

    vii, 50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안형식
    참고문헌: p 41-4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1.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Abstract A study of a researcher's views and attitudes concerning human research ethics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Hospit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Hyeong-sik Ahn M.D, Ph.D) Objec...
  • Abstract A study of a researcher's views and attitudes concerning human research ethics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Hospit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Hyeong-sik Ahn M.D, Ph.D)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step up clinical research ethics and figure out the needs of its education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systems of clinical research ethics and examining researchers' notions about it. Methods :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sed with SPSS.12.0 of which frequency analysis, ANOVA, Two sample t-test and chi-squared test were carried out. Results : The study's major findings were as below. As for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women outnumbered men and most of them were in their 30s making their livings as researchers. Their major was mostly biotechnology. Specifically, many specialized in indirect clinical research such as studying human tissues and cells and had master's degrees. As asked their awareness of clinical research ethics related laws and systems, 34% of respondents said they were well aware. Also, those who received related education proved to be more aware of laws and systems than those who didn't. Among the respondents, those whose research plans were reviewed by IRB outnumbered those whose plans had never been. The main reason for IRB review was to 'publish papers in foreign journals' Asked how they found IRB review, most of them stated that there were too complicated procedures for documentation and too many formal documents required and called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cedures. As for questions asking what was the most important to raise levels of clinical research ethics,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more strict laws topped the list. Those who received ethics educ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more than those who didn't.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Most of researchers generally made positive assessments on IRB review but they complained of the complicated procedures and requirements. In this regard, IRB review needed to be simplified. Most of them had only partial awareness of laws and systems which would serve as basic standards when they carried out clinical research. Therefore, to raise the levels of research ethics, more systematic and regula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get substantial results. Key words : Clinical research, Researcher, clinical research ethics, awareness and attitudes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i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윤리 관련 국제지침 및 법률 6
  • II. 연구대상 및 방법 8
  • 1. 연구의 설계 8
  •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9
  • 3. 연구 도구 10
  • 4. 자료분석 방법 11
  • III. 연구결과 12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
  • 2.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 15
  • 1) 임상시험 연구윤리 관련 법률 및 제도에 대한 인식 15
  • 2)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에 대한 인식 19
  • 3) 우리나라 임상시험 연구윤리 수준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27
  • 3. 임상시험 연구윤리 교육형태 및 인식 30
  • 1) 임상시험 연구윤리 교육형태 30
  • 2) 임상시험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 34
  • IV. 고 찰 36
  • V. 결 론 40
  • 참고문헌 41
  • 부 록 43
  • 국문요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발행년 2012 

  • 조회 수 206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발행년 2012 

  • 조회 수 356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발행년 2012 

  • 조회 수 121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확보해야 하는 동의의 수준에 따른 동의 획득 절차의 구분 / 배현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9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성(vulnerability) 판단 기준 재정립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역할 / 배현아

발행년 2011 

  • 조회 수 44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293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302

18 인체실험 IRB 상호인정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정혜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2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임상연구자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 손순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223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운영 실태와 조기정착방안 연구 / 김숙현

발행년 2011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발행년 2011 

  • 조회 수 354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발행년 2011 

  • 조회 수 365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발행년 2011 

  • 조회 수 11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김기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202

18 인체실험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지식 비교 / 추상희

발행년 2011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발행년 2011 

  • 조회 수 8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발행년 2011 

  • 조회 수 67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7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임상적용 / 정형민

발행년 2011 

  • 조회 수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