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7018135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Lessons from the Operations of the Korean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http://www.riss.kr/link?id=A87018135 


  • 저자명

    이동익 ( Dong Ik Lee )                        

  • 학술지명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권호사항

    Vol.10 No.2 [2007]                      

  • 발행처

    한국의료윤리학회                 

  • 발행처 URL

    http://www.medicalethic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9-202(1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7년


초록 (Abstract)

  • On December 29, 2003,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Bioethics and Biosafety 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2005. While many organizations - governmental, scientific, civic, ethical, and religious - participated in the public discussions lead...
  • On December 29, 2003,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Bioethics and Biosafety 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2005. While many organizations - governmental, scientific, civic, ethical, and religious - participated in the public discussions leading up to the enactment of the Bioethics and Biosafety Act, none of these organizations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 once it was enacted. Many criticisms were raised, including criticisms of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which was established to enable all interested parties to voice their concerns concerning the bioethics legislation,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various parties, and to ensure that the pending legislation would be ethically sound. However, for reasons presented in this article, the Committee did not, and could not, fulfill its proper role of mediating disagreements and promoting consensus; instead, it enabled each of the various organizations concerned with the Bioethics and Biosafety Act to claim their own interests. The function of a committee is very much determined by its composition. So to understand why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failed to function properly, one must look to its composition or organization.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was organized, describes its agendas and operational problems during a two-and-a-half year period, and presents a proposal for resolving those problem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16

18 인체실험 황우석 교수사태 관련 한국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 : 매체간. 매체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석봉

발행년 2006 

  • 조회 수 31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311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0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발행년 2014 

  • 조회 수 310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8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0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서유미, 이경아

발행년 2010 

  • 조회 수 305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302

18 인체실험 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조사 / 김양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 송시은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293

18 인체실험 GCP와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윤영란 외

발행년 2002 

  • 조회 수 293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0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연구 제한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연구자의 학문의 자유 측면에서/정문식

발행년 2007 

  • 조회 수 287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발행년 2008 

  • 조회 수 27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합리적인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이레

발행년 2014 

  • 조회 수 27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및 대상자 보호프로그램(HRPP)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