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22852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Gene Manipulation in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Cre recombinant protein

                                        

  • 저자

    정은정                                       

  • 형태사항

    56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추영국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물학과 2011. 2

  • 발행국

    전라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초록 (Abstract)
    • 2006년 Shinya Yamanaka 교수는 4가지 전사인자 Oct4, Sox2, c-Myc, Klf4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를 통해 감염시켜 설치류 체세포를 역분화 (reprogramming) 하여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와 유사한 ...
    • 2006년 Shinya Yamanaka 교수는 4가지 전사인자 Oct4, Sox2, c-Myc, Klf4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를 통해 감염시켜 설치류 체세포를 역분화 (reprogramming) 하여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와 유사한 세포를 생성하고 뒤이어 2007년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을 통해 사람의 피부 세포를 이용하여서도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세포를 생성하게 된다. 이 세포가 바로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 cells)로 배아줄기세포의 윤리적인 문제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s)의 낮은 분화능력을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 외에도 단일 플라스미드 벡터(single plasmid vector), 소분자 물질(small molecule), 재조합단백질(recombinant protein) 등이 있으나 세포 생성률이 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보다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하지만, 바이러스를 이용해 유도하는 방법은 체세포 안으로 들어간 역분화 인자(reprogramming factors)의 융합과 재활성으로 인해 암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시적인 역분화 유도나 역분화 진행이 끝난 후 역분화 인자를 제거하는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09년 Kaji et.al 는 Cre-loxP 시스템을 이용하여 역분화된 세포에서 역분화 인자들을 Nucleofection을 통해 제거하고 그 세포가 계속적으로 다분화능을 유지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세포는 loxP 부분 사이에 역분화 인자와 mOrange를 가지고 있어 주황색을 나타내지만, loxP를 인지한 Cre에 의해 제거가 되면 주황색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Nulcleofection을 통해 Cre를 주입하여 주황색을 띄지 않는 세포를 확인하여 역분화 인자가 제거 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Kaji et.al이 사용한 방법은 세포에 손상을 입힐 것이라 생각되어 우리는 다른 Cre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 protein)을 처리하여 역분화 인자를 제거하였다.
      우선 생쥐 유도만능 줄기 세포를 배양하고 계대 배양 할 때 8ug/ml의 Cre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 하였다. 약 10일~11일 후 주황색을 띄지 않는 배아줄기세포와 닮은 세포를 확인하여 단백질을 이용한 방법으로도 역분화 인자가 제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방법은 지금까지 소개된 다른 방법보다 간단하고 안정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Cre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Cre-loxP 시스템이 체세포에서도 적용 가능하다면 우리는 항생물질내성(Antibiotic resistance)을 가지지 않은 세포 주를 통해 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taion)이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사용되는 동물 생산하고 적용할 때 안전성이 한층 더 강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Key word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re-loxP system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3
    • II. Materials and Methods 6
    • II-1. Cre 11R in pET-52b Plasmids construction 6
    • II-2. Construction of pGAL10-His6.ek.Cre 11R (6H.ek.Cre11R) expression vector 6
    • II-3. The Media and culture conditions are used for yeast transformation 7
    • II-4. The Yeast Strains and transformation of pGAL-His6.ek.Cre11R 7
    • II-5. Purification of recombinant Cre protein 8
    • II-6. SDS-PAGE analysis of Cre protein 9
    • II-7.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iPSCs) culture and Reprogramming cassette excision of miPSCs 10
    • II-8.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of reprogramming cassette excision of miPSCs 11
    • III. Results 12
    • III-1. Product of Cre 11R in Protein expression vector pET-52b (Cre11R-52b) 12
    • III-2. Construction for Pufication of Cre 11R Recombinant Protein from yeast 17
    • III-3. Comparison of Protein product from induced Cre recombinant protein from S.cerevisiae Y2805 ?gal1 and L3262 ?pmr1 20
    • III-4. Purification of assumed Cre recombinant Protein from L3262?pmr1 27
    • III-5. Culture of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iPSCs) 29
    • III-6. Excision of Reprogramming factors in miPSCs by Cre 11R recombinant protein 31
    • IV. Discussion 35
    • V. References 3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1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114 18 인체실험 이주민과 난민문제의 안보적 대응에 관한 고찰 / 이만종 2018  333
    11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IRB / 안영미 2014  335
    112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5
    111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11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임무와 운영 / 김용진 2013  338
    10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와 IRB / 방은령 2013  339
    108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5
    107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7
    106 18 인체실험 구강편평상피 암세포와 이종종양 모델에서의 화학요법과 배아줄기세포 유래 조혈모세포, 혈관내피세포의 단백체 분석 및 기능 연구 / 이라함 2016  347
    105 18 인체실험 터스키기 실험 사건의 역사적 기원/박진빈 2017  347
    104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49
    103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5
    102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101 18 인체실험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김대건 2015  360
    100 18 인체실험 들뢰즈와 배아줄기세포 / 이득재 2010  360
    9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
    98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61
    97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3
    »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2011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