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55004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Legal Effectiveness of Consent and Contents of Explanation in Clinical Tests -Focusing on the debates in Japan and implications in Korea

                                

  • 저자명

    송영민                                              

  • 학술지명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

    Vol.29 No.4 [2012]                                                           

  • 발행처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9-140(22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2년

  • KDC

    365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과정상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와 이러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
  • 임상시험과정상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와 이러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 정도에 관해서는, 임상시험의 특성상 통상적인 의료행위에서 의사에게 부과되는 의무보다는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동등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시험자인 의사나 피험자인 환자사이에는 신뢰관계를 기초로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의료행위에서 인정되는 설명의무의 예외는 임상시험의 경우에는 그대로 인정될 수 없고, 연구자는 피험자에게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동의를 함에 있어 고려할 모든 사실, 가능성 및 의견에 대하여 완전하고 솔직하게 설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시험자인 의사와 피험자인 환자사이의 임상계약관계에서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계약관계, 그것도 전형계약의 구조를 통한 위임'적'인 계약관계라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시험자와 피험자간의 계약관계 그 자체에서 시험자의 보다 강화된 설명의무를 도출할 수 있고, 이러한 이론적 근거는 '신인의무'와 '충실의무'이며 이러한 의무는 일본민법의 입법취지에서 보면 선관주의의무와 함께 민법 제681조에서 도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임상계약 자체에서 이러한 '신인의무'와 '충실의무'를 도출할 수 있고, 설명의무도 이러한 의무에 근거한 임상계약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의무의 구체적 내용이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한 시험자(의사)의 의무가 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Ⅰ. 서론
  • Ⅱ. 말기암 환자에 대한 설명의 범위가 문제된 일본의 판례 및 검토
  • Ⅲ. 임상시험상의 시험자와 피험자의 관계
  • Ⅳ.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발행년 2016 

  • 조회 수 23700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209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947

18 인체실험 The Silent Majority: Who Speaks at IRB Meetings?

발행년 2012 

  • 조회 수 4581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발행년 1994 

  • 조회 수 4347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발행년 2013 

  • 조회 수 3952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발행년 2013 

  • 조회 수 2997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발행년 2017 

  • 조회 수 2483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84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발행년 2009 

  • 조회 수 1997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36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98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122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발행년 2012 

  • 조회 수 1216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72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1154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54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949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