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4358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저자

    양영환                                       

  • 형태사항

    vi, 7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일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전공 2016.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
  • 임상시험 수행에 있어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상자 모집은 임상시험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연구자와 대상자의 관점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의뢰자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대상자 모집 방식을 의뢰자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자 모집과 관련된 각국의 주요 사업 및 정책 등을 살펴보고 설문을 통해 대상자 모집의 방식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대상자 모집 관련된 주요국 및 국내의 사업 및 정책을 비교하기 위한 문헌고찰과 대상자 모집 방식 파악 및 대안 모색을 위한 설문조사로 구성하였다. 문헌고찰은 먼저 국내·외 임상시험 실시경향을 분석하고 대상자 모집 관련 국내외 정책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설문조사는 일반정보, 대상자 모집 관련, 임상시험 전반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환자 중심적 접근의 CNRCC, 임상시험 전단계에 걸친 대상자 참여를 강조하는 CTTI 등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대상자 모집 과정 개선을 위한 여러 제도 및 공약을 내세우고 있으며 최근 미국에서는 임상시험의 현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대상자 모집 개선 또는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에서 5년간 승인된 임상시험 계획 중 이미 종료된 임상시험(1상)을 대상으로 5건 이상 종료경험이 있는 제약사 및 CRO 기업(34개)를 대상으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총17개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기업 중 35.3%가 대상자 모집 실패 및 지연으로 인해 조기종료를 경험하였고 계획된 일정대로 임상시험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41.2%로 연구자의 자원 미확보 및 의지, 노력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 있었다. 국내외 제약사의 경우 대상자 모집 증진을 담당하는 부서는 전혀 없었고 모집 전략을 보유한 기업은 약 60%에 달하였다. 국내 임상시험 관련 규정에 의해 대상자 모집 (광고 등)은 시험책임자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병원 또는 연구자를 활용한 방법이 대부분(8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지역사회 또는 환자단체와의 네트워크 활용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여 실제 모집 방법의 이용 빈도와 그 효과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발행년 2017 

  • 조회 수 24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247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발행년 2012 

  • 조회 수 251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1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255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발행년 2010 

  • 조회 수 256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1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이점 및 한계 / 황석연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2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임수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262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6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7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및 대상자 보호프로그램(HRPP)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발행년 2015 

  • 조회 수 27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합리적인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이레

발행년 2014 

  • 조회 수 274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발행년 2008 

  • 조회 수 27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연구 제한에 대한 헌법적 평가- 연구자의 학문의 자유 측면에서/정문식

발행년 2007 

  • 조회 수 287